2021년 수출 전과정 디지털화…"시간·비용 90% 이상 절감"
산업통상자원부가 오늘 열린 제4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블록체인,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을 이용해 무역업체의 거래비용을 절감하는 `디지털 무역 기반구축 방안`의 7개 과제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2021년까지 uTH(u-Trade Hub) 2.0으로 불리는 `디지털 무역 기반`이 구축될 경우, 조달부터 계약, 통관, 결제에 이르는 무역거래의 모든 과정이 디지털화된다.

또 무역정보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해 무역업체가 원하는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해 수출신고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의 90% 이상을 절감하게 될 것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먼저 빅데이터와 AI, 블록체인 등 디지털 기술을 활해 무역정보를 `빅데이터화`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제로 선정됐다.

산업부는 `대외경제 통합정보센터`를 2021년까지 구축해 기업들에게 수출, 해외투자, 프로젝트 수주 등 해외진출정보를 단일 포털로 제공할 방침이다.

기존엔 여러 부처와 공공기관에 해외 진출정보가 분산되어 있던 애로사항을 해소하는 조치다.

또 `중기 맞춤형 통계` 등을 신설해 유망시장 추천, 시장별 특화정보 등을 제공해 수출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신규 시장에 도전할 수 있게끔 지원할 계획이다.

두 번째 과제로는 외국환은행과 유관단체(무역협회 등)가 협력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외국환 거래 증빙 서비스를 갖춰 `무역금융의 디지털화`를 촉진하는 것이 선정됐다.

현재는 송금방식 수출채권을 수출기업이 외국환은행에 매입신청시 온라인(14%)과 오프라인(86%)을 병행하고 있으나, 2020년 7월부터는 온라인매입만 가능하게 된다.

또 기존 17종의 서류 제출과 수기 작성이 필요했던 무역보험공사의 수출신용보증 서비스를 온라인화 하는 중소기업 전용 `디지털 수출 신용보증 서비스`가 도입돼 방문 없이 무역보험을 체결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세 번째 과제로는 `쉽고 편리한 무역업무 지원 플랫폼 구축`이 선정됐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혁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무역 플랫폼(u-Trade Hub:uTH 2.0)`을 3년간 구축해 기업의 조달과 계약, 통관, 물류 등 수출 전 과정에 걸쳐 거래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기업의 영업비밀을 제외한 무역거래 데이터의 처리·분석·활용 등을 허용하기 위한 관련 규정을 정비하고, 관세청의 기업별 정보도 수출지원기관과 공유할 수 있게끔 무역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이러한 디지털 무역 플랫폼의 글로벌 확산과 표준 선점을 위해 신남방·신북방 지역을 중심으로 디지털 무역 플랫폼을 수출하는 방안이 네 번째 과제로 선정됐다.

다섯 번째 과제는 `소재·부품 등 기업간 전자상거래 수출(B2B) 확대`다.

소재·부품·장비 기업 등의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KOTRA의 온라인 수출 지원 플랫폼인 `바이코리아`에 2020년까지 소·부·장 전용관을 구축해 해외수요처 발굴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여섯 번째 과제는 `소비재 중심 전통 전자상거래 수출(B2C) 지원 강화`가 꼽혀, 업종별·테마별 전문몰을 선정해 글로벌 쇼핑몰로 성장하도록 마케팅을 지원(70개사 40억원)한다.

또 인플루언서 등을 활용하고 한류와 결합한 글로벌 전문몰 후보기업도 지원해 오는 11월 예정된 `코리아 세일 페스타` 기간 중 해외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우리기업 제품의 프로모션과 마케팅을 적극 지원한다.

마지막 과제로는 소량·다품종 위주의 전자상거래 특성을 위해 간이신고와 목록제출로 이원화된 전자상거래 수출신고를 전용 신고서식으로 일원화하는 안이 선정됐다.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이번 대책은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무역 시장을 선도하고 온라인 수출 지원 기반을 고도화하는 데 역점을 뒀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새롭게 구축되는 디지털 무역을 바탕으로 우리 기업들이 불확실한 무역환경을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범부처적 지원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배성재기자 sjbae@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