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수차례 검사를 거치면서 감염 돼지고기 출하 가능성이 없다고 단언하지만, 아프리카돼지열병 잠복기 때에는 감염 사실을 제대로 찾아내기 어렵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감염 고기의 출하 가능성을 100% 차단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아 이런 돼지고기를 섭취하더라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는 게 정설이다.
그러나 이 질병에 걸린 'ASF 돼지고기'가 출하된다면 시장 혼란이 불가피해지고 소비자들의 상당한 심리적 저항도 예상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26일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농장을 포함해 반경 3㎞ 농장에서는 예방적 살처분을 하고 있으며 발생 농장과 역학관계에 있는 농장에서는 3주간 돼지 출하가 안 돼 돼지고기는 안전하다"고 밝혔다.
현재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점관리지역으로 설정된 ▲경기 북부 ▲강원 북부 ▲경기 남부 ▲강원 남부 등 4대 권역에서는 3주 동안 돼지를 다른 권역으로 이동 반출하지 못하지만, 도축된 돼지고기는 다른 권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도축 돼지고기를 통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전염 가능성이 작다는 판단과 전국적인 일시이동중지명령에 따른 돼지고기 수급 불균형을 최소화하려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23일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판정 난 김포시 통진읍의 경우에는 돼지 채혈 정밀조사에서 전염병이 걸리지 않았다는 음성 판정을 받았다가 사흘 뒤 발병하는 일이 벌어지면서 정밀 검사를 전적으로 신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는 전수조사가 아니라 돼지 샘플을 뽑아서 조사하는 한계에다가 아프리카돼지열병 잠복기 초기에서는 채혈 검사에서도 음성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중점관리지역이나 아직 발병하지 않은 다른 지역에서 바이러스 잠복기 초기의 문제 돼지를 100% 걸러내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고 추정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발생 농장과 주변 지역은 예방적 살처분을 하고 그 이외 지역 돼지도 도축 과정에서 임상 검사와 맨눈 검사 등을 거쳐 나간다"고 설명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멧돼지를 포함한 돼지과 동물에만 국한돼 감염되며 사람에게는 감염되지 않는다.
대한의사협회 국민건강보호위원회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는 인간에게는 무해하다"며 "(사람이) 돼지고기를 섭취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