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3∼25일 일산 킨텍스서 개최
OECD가 본 한국교육 현재와 미래는…내달 국제교육 콘퍼런스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는 다음달 23∼25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교육부·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과 함께 '한-OECD 국제교육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한국 교육 당국이 OECD와 함께 2030년 전후 10년을 아우를 한국 미래 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구상하기 위해 마련됐다.

학생·학부모·교직원·교육 당국 관계자 등 2천500여명이 참석할 전망이다.

주제별 발표·토론 및 '제10차 OECD 교육 2030 워킹그룹회의'를 위해 30여개국에서 방한한 해외 교육 관계자 150여명도 참여한다.

'OECD 교육 2030'은 미래 교육 변화 방향을 함께 탐색하기 위해 30여개 OECD 회원국이 참여하는 프로젝트다.

첫날인 10월 23일에는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이 '2030 미래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방향과 주요 의제'를 주제로 개막식 기조연설을 한다.

안드레아스 슐라이허 OECD 교육국장은 'OECD 교육 2030 학습틀로 본 한국 교육' 주제로 한국 교육을 분석한 내용을 발표한다.

이날 OECD에서는 '체육교육·건강 국제 비교 분석 보고서'를 발표한다.

체육교육과 학생 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한국 등 15개국의 체육·보건 교육과정 주요 특성을 비교한 보고서다.

학생·학부모 등 400여명이 참여하는 2030 미래교육 시민원탁토론회, 어린이·청소년 교육·문화 권리 선언도 예정돼 있다.

둘째 날인 10월 24일에는 유·초·중등교육, 고등교육, 평생·직업교육, 디지털교육, 교육자치 등 5개 분야별로 미래교육 체제의 방향·과제를 제시하는 해외사례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된다.

핀란드 유·초·중등 교육과정 개혁 사례, 캘리포니아 체제로 본 한국 고등교육체제, 독일의 평생학습, 싱가포르의 디지털 시민성, 일본의 커뮤니티스쿨 정책 등에 관해 각국에서 온 전문가들이 발표한다.

콘퍼런스 마지막날인 10월 25일에는 OECD 교육 2030 워킹그룹회의가 사흘간 진행한 논의 결과를 정리한다.

논의의 초점은 '교육과정·수업방식·학생평가의 일관성 제고'가 될 예정이다.

이날 OECD 관계자들과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진경 의장 등은 서울 시내 학교도 방문한다.

콘퍼런스 관련 자세한 정보는 '2019 대한민국 미래교육 한마당' 홈페이지(www.future-edufai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관을 원하면 이달 25일부터 사전등록할 수 있다.

김진경 의장은 "이번 콘퍼런스에서 논의된 내용은 국가교육위원회가 출범한 이후에 수립될 '2030 미래교육체제'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