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공원 부지에 공원 만들어야…서울시 의지 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민단체 등 '부지 매입 적극 나서달라' 시의회에 청원 제출 예정
3천400억 비용 부담…매입 못 하면 내년 7월 주택건설 가능해져
시민단체와 정의당 서울시당 등은 18일 용산구 한남근린공원 부지를 매입하는 데 서울시와 시의회가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2020도시공원일몰제대응전국시민행동, 정의당 서울시당, 녹색당 서울시당, 한남동시민공원만들기모임은 이날 서울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오늘 중 시의회에 공원 조성 대책을 촉구하는 청원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한남근린공원을 지키기 위한 예산 확보가 답보 상태에 놓여 공원이 실효되지 않을까 많은 주민이 우려하고 있다"며 "서울시와 시의회는 주민의 여가 공간인 한남근린공원이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한남동에 공원이 턱없이 부족해 공원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작년 기준 서울시 1인당 생활권 공원면적은 16.3㎡이나 용산구 1인당 생활권 공원면적은 7.4㎡, 한남동은 1인당 공원면적이 1.3㎡에 불과하다.
한남근린공원은 1940년 당시 조선총독부가 최초로 공원 부지로 지정하고 1977년 건설부가 재고시한, 역사가 오래된 근린공원이다.
그간 미군 주택 부지로 활용되면서 공원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고, 2015년 미군이 나간 이후로는 지금까지 방치됐다.
이 공원은 2014년 정부가 공원을 포함한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제를 추진하면서 공원부지 해제가 유력했으나, 서울시가 공원을 조성하기로 하면서 해제가 미뤄졌다.
이에 부지 소유주인 부영주택이 행정소송을 제기했지만, 작년 10월 대법원이 서울시 손을 들어주면서 해제 위기를 넘겼다.
그러나 장기간 방치된 공원을 해제하는 도시공원 일몰제 시행에 따라 내년 7월 1일부터는 용도 변경 없이 주택 건설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인근에 한남더힐 등 고급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어 개발 기대감이 높은 지역으로 꼽힌다.
서울시는 지난해 이곳을 우선보상대상지역으로 지정해 부지 매입을 추진하고 있으나 용산구와 예산 협의는 지지부진하다.
부지(2만8천197㎡) 매입 비용은 3천4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서울시는 용산구에 절반을 부담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용산구는 구 예산으로는 감당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권수정 서울시의원(정의당)은 "주민을 위한 공원이 기업의 개발 이익 대상이 될 위기에 처했다"며 "귀한 자원이 보존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의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3천400억 비용 부담…매입 못 하면 내년 7월 주택건설 가능해져
시민단체와 정의당 서울시당 등은 18일 용산구 한남근린공원 부지를 매입하는 데 서울시와 시의회가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2020도시공원일몰제대응전국시민행동, 정의당 서울시당, 녹색당 서울시당, 한남동시민공원만들기모임은 이날 서울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오늘 중 시의회에 공원 조성 대책을 촉구하는 청원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한남근린공원을 지키기 위한 예산 확보가 답보 상태에 놓여 공원이 실효되지 않을까 많은 주민이 우려하고 있다"며 "서울시와 시의회는 주민의 여가 공간인 한남근린공원이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한남동에 공원이 턱없이 부족해 공원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작년 기준 서울시 1인당 생활권 공원면적은 16.3㎡이나 용산구 1인당 생활권 공원면적은 7.4㎡, 한남동은 1인당 공원면적이 1.3㎡에 불과하다.
한남근린공원은 1940년 당시 조선총독부가 최초로 공원 부지로 지정하고 1977년 건설부가 재고시한, 역사가 오래된 근린공원이다.
그간 미군 주택 부지로 활용되면서 공원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고, 2015년 미군이 나간 이후로는 지금까지 방치됐다.
이 공원은 2014년 정부가 공원을 포함한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제를 추진하면서 공원부지 해제가 유력했으나, 서울시가 공원을 조성하기로 하면서 해제가 미뤄졌다.
이에 부지 소유주인 부영주택이 행정소송을 제기했지만, 작년 10월 대법원이 서울시 손을 들어주면서 해제 위기를 넘겼다.
그러나 장기간 방치된 공원을 해제하는 도시공원 일몰제 시행에 따라 내년 7월 1일부터는 용도 변경 없이 주택 건설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인근에 한남더힐 등 고급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어 개발 기대감이 높은 지역으로 꼽힌다.
서울시는 지난해 이곳을 우선보상대상지역으로 지정해 부지 매입을 추진하고 있으나 용산구와 예산 협의는 지지부진하다.
부지(2만8천197㎡) 매입 비용은 3천4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서울시는 용산구에 절반을 부담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용산구는 구 예산으로는 감당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권수정 서울시의원(정의당)은 "주민을 위한 공원이 기업의 개발 이익 대상이 될 위기에 처했다"며 "귀한 자원이 보존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의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