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사태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데요. 홍콩 시위대 사태는 범죄자 인도 협약, 즉 ‘송환법’이 직접적인 발단입니다만 최근에는 긴급조치까지 발동하고 시위 자체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발표했습니다. 중국은 차제에 홍콩 금융 중심지의 최대 핵심인 달러 페그제 고리를 차단시킨다는 의도가 속속 드러나고 있는데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Q.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홍콩 시위대 사태가 날로 악화되고 있는데요. 현재 어떤 상황입니까?

-홍콩 시위대 사태 발생 ‘벌써 5개월째’

-송환법, 완전 예속을 위한 일종의 내정간섭

-긴급법 발동, 홍콩 시민 ‘구속’으로 반발

-당초 예상과 달리 미중 마찰 문제로 번져

-홍콩 경제, 싱가포르 쇼크에 걸려 경기침체

-올해 2분기 성장률 -0.2%로 마이너스 국면

Q.방금 말씀하신 싱가포르 쇼크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말씀해주시지요.

-홍콩 경제, ‘중계 무역’과 ‘금융 중심지’ 대변

-모든 것이 자유롭게 못하면 ‘싱가포르 쇼크’

-상품과 돈 자유롭게 이동, ‘인플레이션 갭’

-반대의 경우, 곧바로 ‘디플레이션 갭’ 전환

-한 해에도 성장률 20%p 차이 날 수도

-전형적인 ‘천수답 부유(浮游) 경제’에 해당

Q. 천수답 부유 경제 특성상 경기가 받쳐주지 못하면 곧바로 자금 유출 문제에 봉착하지 않습니까?

-홍콩 경기침체, ‘엑시트(HK+Exit)’ 문제 봉착

-유입 자금 대비 유출자금 비율, 1배 이하 유지

-올해 2월부터 높아지기 시작, 최근 2.64배 급등

-→100달러가 들어오면 264달러 빠졌다는 의미

-종전에 볼 수 없었던 이례적으로 빠른 속도

-중국 이어 홍콩에서도 외환위기 우려 확산

Q. 홍콩이 자금유입보다 자금유출이 많으면 홍콩의 환율제도인 페그제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지는 거죠?

-홍콩, 83년부터 달러당 7.8 홍콩 달러 페그제

-HKMA, 홍콩 달러 팔고 사는 방법으로 유지

-세계 금융위기 등 숱한 대외충격에도 잘 버텨

-홍콩, 중국 반환 이후 금융 중심지 쇠락 예상

-하지만 금융 중심지로 부상, 시진핑 정부 당혹

-중국, 선진 등 홍콩 대체 금융중심지 육성 차질

Q. 홍콩 시위대가 장기화되면서 국제금융시장에서는 홍콩이 과연 페그제를 유지할 것인가를 두고 관심을 모이고 있지 않습니까?

-홍콩, 엄격한 의미로 ‘페그제 유일하게 유지’

-페그제 유지 최대 관건, 외환 사정과 자금 유입

-홍콩 외환보유액, 우리와 비슷한 4.4천억 달러

-E/I 비율이 1배가 넘지 않으면 페그제는 유지

-E/I 비율, 최근처럼 2.6배 넘으면 사정 달라져

-홍콩 은행 예금, 1.7조 달러로 GDP대비 470%

Q. 아시아 통화위기 등에서 경험했듯이 페그제가 위협 당하면 홍콩 달러 약세를 겨냥한 환투기 세력으로부터 공격 당할 가능성이 높지 않습니까?

-페그제 붕괴, 자금이탈과 경기 ‘악순환 고리’

-대외적으로 전염효과 크게 나타날 가능성 높아

-자금이탈→홍콩 자산시장 붕괴→마진 콜 발생

-마진 콜→디레버리지 과정에서 연쇄 파동 예상

-IMF, 회원국 구제금융 요청 다 들어주지 못해

-회원국 안정, 사후적 방안보다 사전적 방안 권고

Q. 페그제 유지를 위해 IMF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결국은 중국과 미국이 담당해야하지 않습니까?

-중국, ‘Great Bay Area’ 개발에서 홍콩 소외

-팍스 시니카, 페그제 붕괴로 미국과 단절 원해

-미국, 페그제 붕괴땐 자유 교역과 특권 포기돼

-각국의 탈달러화 움직임 빨라질 것으로 예상

-페그제 유지만 위해 달러 공급하는 것은 ‘불가능’

-페그제 유지 여부 놓고 미중 마찰 장기화 우려

Q. 문제는 우리인데요. 홍콩의 페그제가 유지되지 못할 경우 그 어느 국가보다 우리가 불리하지 않습니까?

-한국, 홍콩에 대한 수출액 4번째로 큰 국가

-대중국 수출, 70% 이상 홍콩 경우 ‘간접 수출’

-홍콩 문제 장기화, 우리 수출과 경기에 직격탄

-홍콩 통한 자금조달,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많아

-홍콩 H 지수를 기초로 한 ELS, 42조원에 달해

-제2 독일 국채 DLS 사태 방지, 선제 대책 필요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