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S 미상환 잔액 18.7조원…1년 새 20% 증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7월까지 1년간 상환액 직전 동기 대비 28% 줄어
수천억원대 추정 손실을 기록한 금리연계 파생결합상품(DLF·DLS)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파생결합증권(DLS) 미상환 잔액이 최근 1년 사이에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소정의 수익을 기대하며 돈을 맡겼다가 조기 상환에 실패한 채 불안에 빠진 투자자들이 늘고 있는 셈이다.
26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SEIBro)에 따르면 이달 23일 현재 국내에서 발행된 DLS(파생결합사채는 제외) 미상환 잔액은 18조6천923억원으로 약 1년 전인 지난해 8월 말(15조5천648억원)보다 20.1%나 증가했다.
작년 말 16조3천189억원 수준에서 올해 6월 말 18조3천57억원으로 6개월 새에 2조원가량 급증했고 그 뒤 두 달간도 3천866억원(2.1%) 늘어난 영향이 크다.
DLS 발행 주체인 증권사별 미상환 잔액(23일 기준)을 보면 하나금융투자가 4조4천257억원으로 가장 많고 NH투자증권(3조4천405억원), KB증권(1조7천672억원), 신한금융투자(1조3천348억원), 미래에셋대우(1조2천372억원), 삼성증권(1조2천327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DLS 미상환 잔액의 증가는 무엇보다 상환액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부터 올해 7월까지 1년간 상환된 금액은 14조9천504억원으로 직전 1년간(2017년 8월∼2018년 7월)의 상환액(20조8천42억원)보다 28.1%나 줄었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DLS 발행액은 18조1천48억원에서 18조2천174억원으로 0.6% 늘어나는 데 그쳤다.
다만 월별 DLS 발행액을 보면 지난해 8월 1조814억원 수준에서 올해 1월 1조2천670억원, 3월 1조7천635억원, 5월 1조9천150억원, 6월 2조3천70억원 등으로 급증세를 보였다.
[표] 최근 2년간 월별 DLS 발행금액과 상환금액(단위: 억원)
┌────┬─────┬─────┬────┬─────┬─────┐
│연월 │ 발행금액 │ 상환금액 │연월 │ 발행금액 │ 상환금액 │
├────┼─────┼─────┼────┼─────┼─────┤
│ 2017/08│ 14,891 │ 13,732 │ 2018/08│ 10,814 │ 9,965│
│ │ │ │ │ │ │
├────┼─────┼─────┼────┼─────┼─────┤
│ 2017/09│ 17,435 │ 17,043 │ 2018/09│ 10,705 │ 7,708│
│ │ │ │ │ │ │
├────┼─────┼─────┼────┼─────┼─────┤
│ 2017/10│ 12,183 │ 22,979 │ 2018/10│ 14,890 │ 13,948 │
│ │ │ │ │ │ │
├────┼─────┼─────┼────┼─────┼─────┤
│ 2017/11│ 14,821 │ 15,597 │ 2018/11│ 13,717 │ 7,161│
│ │ │ │ │ │ │
├────┼─────┼─────┼────┼─────┼─────┤
│ 2017/12│ 15,638 │ 19,670 │ 2018/12│ 10,241 │ 13,351 │
│ │ │ │ │ │ │
├────┼─────┼─────┼────┼─────┼─────┤
│ 2018/01│ 16,058 │ 16,666 │ 2019/01│ 12,670 │ 12,070 │
│ │ │ │ │ │ │
├────┼─────┼─────┼────┼─────┼─────┤
│ 2018/02│ 11,147 │ 13,292 │ 2019/02│ 11,647 │ 12,105 │
│ │ │ │ │ │ │
├────┼─────┼─────┼────┼─────┼─────┤
│ 2018/03│ 15,747 │ 22,391 │ 2019/03│ 17,635 │ 11,563 │
│ │ │ │ │ │ │
├────┼─────┼─────┼────┼─────┼─────┤
│ 2018/04│ 18,738 │ 25,122 │ 2019/04│ 17,667 │ 18,626 │
│ │ │ │ │ │ │
├────┼─────┼─────┼────┼─────┼─────┤
│ 2018/05│ 15,982 │ 13,863 │ 2019/05│ 19,150 │ 13,906 │
│ │ │ │ │ │ │
├────┼─────┼─────┼────┼─────┼─────┤
│ 2018/06│ 16,819 │ 16,710 │ 2019/06│ 23,070 │ 13,528 │
│ │ │ │ │ │ │
├────┼─────┼─────┼────┼─────┼─────┤
│ 2018/07│ 11,589 │ 10,977 │ 2019/07│ 19,968 │ 15,573 │
│ │ │ │ │ │ │
├────┼─────┼─────┼────┼─────┼─────┤
│ 합계 │ 181,048 │ 208,042 │ 합계 │ 182,174 │ 149,504 │
│ │ │ │ │ │ │
└────┴─────┴─────┴────┴─────┴─────┘
이달 들어서는 23일 현재까지 DLS 발행액이 8천58억원 수준으로 주춤한 상황이다.
금리연계형 파생결합상품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DLS 상품 전반에 대한 기피 분위기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금리의 경우 거시경제와 통화정책에 따라 특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속성이 있어 그 방향성과 반대로 설계된 파생상품의 경우 투자 위험성이 크다"며 "DLS 상품 판매나 투자 모두 이런 위험성을 충분히 숙지한 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소정의 수익을 기대하며 돈을 맡겼다가 조기 상환에 실패한 채 불안에 빠진 투자자들이 늘고 있는 셈이다.
26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SEIBro)에 따르면 이달 23일 현재 국내에서 발행된 DLS(파생결합사채는 제외) 미상환 잔액은 18조6천923억원으로 약 1년 전인 지난해 8월 말(15조5천648억원)보다 20.1%나 증가했다.
작년 말 16조3천189억원 수준에서 올해 6월 말 18조3천57억원으로 6개월 새에 2조원가량 급증했고 그 뒤 두 달간도 3천866억원(2.1%) 늘어난 영향이 크다.
DLS 발행 주체인 증권사별 미상환 잔액(23일 기준)을 보면 하나금융투자가 4조4천257억원으로 가장 많고 NH투자증권(3조4천405억원), KB증권(1조7천672억원), 신한금융투자(1조3천348억원), 미래에셋대우(1조2천372억원), 삼성증권(1조2천327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DLS 미상환 잔액의 증가는 무엇보다 상환액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부터 올해 7월까지 1년간 상환된 금액은 14조9천504억원으로 직전 1년간(2017년 8월∼2018년 7월)의 상환액(20조8천42억원)보다 28.1%나 줄었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DLS 발행액은 18조1천48억원에서 18조2천174억원으로 0.6% 늘어나는 데 그쳤다.
다만 월별 DLS 발행액을 보면 지난해 8월 1조814억원 수준에서 올해 1월 1조2천670억원, 3월 1조7천635억원, 5월 1조9천150억원, 6월 2조3천70억원 등으로 급증세를 보였다.
[표] 최근 2년간 월별 DLS 발행금액과 상환금액(단위: 억원)
┌────┬─────┬─────┬────┬─────┬─────┐
│연월 │ 발행금액 │ 상환금액 │연월 │ 발행금액 │ 상환금액 │
├────┼─────┼─────┼────┼─────┼─────┤
│ 2017/08│ 14,891 │ 13,732 │ 2018/08│ 10,814 │ 9,965│
│ │ │ │ │ │ │
├────┼─────┼─────┼────┼─────┼─────┤
│ 2017/09│ 17,435 │ 17,043 │ 2018/09│ 10,705 │ 7,708│
│ │ │ │ │ │ │
├────┼─────┼─────┼────┼─────┼─────┤
│ 2017/10│ 12,183 │ 22,979 │ 2018/10│ 14,890 │ 13,948 │
│ │ │ │ │ │ │
├────┼─────┼─────┼────┼─────┼─────┤
│ 2017/11│ 14,821 │ 15,597 │ 2018/11│ 13,717 │ 7,161│
│ │ │ │ │ │ │
├────┼─────┼─────┼────┼─────┼─────┤
│ 2017/12│ 15,638 │ 19,670 │ 2018/12│ 10,241 │ 13,351 │
│ │ │ │ │ │ │
├────┼─────┼─────┼────┼─────┼─────┤
│ 2018/01│ 16,058 │ 16,666 │ 2019/01│ 12,670 │ 12,070 │
│ │ │ │ │ │ │
├────┼─────┼─────┼────┼─────┼─────┤
│ 2018/02│ 11,147 │ 13,292 │ 2019/02│ 11,647 │ 12,105 │
│ │ │ │ │ │ │
├────┼─────┼─────┼────┼─────┼─────┤
│ 2018/03│ 15,747 │ 22,391 │ 2019/03│ 17,635 │ 11,563 │
│ │ │ │ │ │ │
├────┼─────┼─────┼────┼─────┼─────┤
│ 2018/04│ 18,738 │ 25,122 │ 2019/04│ 17,667 │ 18,626 │
│ │ │ │ │ │ │
├────┼─────┼─────┼────┼─────┼─────┤
│ 2018/05│ 15,982 │ 13,863 │ 2019/05│ 19,150 │ 13,906 │
│ │ │ │ │ │ │
├────┼─────┼─────┼────┼─────┼─────┤
│ 2018/06│ 16,819 │ 16,710 │ 2019/06│ 23,070 │ 13,528 │
│ │ │ │ │ │ │
├────┼─────┼─────┼────┼─────┼─────┤
│ 2018/07│ 11,589 │ 10,977 │ 2019/07│ 19,968 │ 15,573 │
│ │ │ │ │ │ │
├────┼─────┼─────┼────┼─────┼─────┤
│ 합계 │ 181,048 │ 208,042 │ 합계 │ 182,174 │ 149,504 │
│ │ │ │ │ │ │
└────┴─────┴─────┴────┴─────┴─────┘
이달 들어서는 23일 현재까지 DLS 발행액이 8천58억원 수준으로 주춤한 상황이다.
금리연계형 파생결합상품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DLS 상품 전반에 대한 기피 분위기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금리의 경우 거시경제와 통화정책에 따라 특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속성이 있어 그 방향성과 반대로 설계된 파생상품의 경우 투자 위험성이 크다"며 "DLS 상품 판매나 투자 모두 이런 위험성을 충분히 숙지한 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