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관계자들 백브리핑…"미국, 중재나 조정에 관심 없어"
한국의 지소미아 파기 가능성엔 "동북아 안보 유지 위해 서로 의존"


미 국무부 고위당국자들은 2일(현지시간)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와 관련해 3국의 만남 자체가 해법 모색에 관심이 있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양국 갈등에도 불구하고 북핵 공조에는 변함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는 등 한일 경색이 북핵 협상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관심을 두는 분위기였지만, 한일 갈등과 관련해 구체적인 안까지 제시하는 중재자 역할에는 일정한 선을 그었다.
美당국자 "한일 모두 해법에 관심…북핵공조는 영향 없다"
4명의 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이 끝난 뒤 기자들과 백브리핑을 가졌다.

미 국무부가 언론에 제공한 녹취록에 따르면 한 당국자는 3국 장관의 회담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피한 채 "3국이 만났다는 사실은 해법 또는 적어도 해결책을 찾는 데 관심이 있다는 것"이라며 "미국은 중재나 조정에 관심이 없다.

그 사실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한일 논쟁에서 중재자가 되지 않겠다는 말이냐는 질문이 추가로 나오자 이 당국자는 "미국이 포함돼 있지만 중간에 끼어드는 것은 긍정적이지 않다"며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은 처음이 아니다.

분명히 더이상의 단계를 밟을 필요는 없다"고 언급했다.

이 당국자는 "백악관, 미국 정부에서 계속 나온 말은 '그것은 한국과 일본 간의 문제다.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아보자'는 것이다.

이것은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쪽에서도 확실히 감정적인 문제다"라며 "미 정부가 하는 일은 이런 문제가 통제 불가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 이성과 장기적 관점을 적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당국자는 한일 양국 관계의 완전한 종말을 보는 것 같다는 질문에 "아니다.

양측은 해결책을 찾는데 아주 관심이 많다.

그것은 분명하다"고 반박했다.

한 당국자는 폼페이오 장관이 현상동결 합의를 제안했느냐는 질문에 "외교에서 시간은 중요하다.

그래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진다면 거의 어떤 것에 대해서도 일종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고 대답했다
곧이어 현상동결 합의를 부인하진 않겠다는 뜻이냐는 질문이 나오자 또다른 당국자는 "현상동결 합의와 같은 것은 없었다"며 "그러나 분명히 이번 경우에는 좀더 시간이 있었다면 매우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美당국자 "한일 모두 해법에 관심…북핵공조는 영향 없다"
다만 국무부 관료들은 한일 갈등이 북핵 공조 체제를 훼손하진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 당국자는 "현재의 긴장이 한미일 협력의 모든 측면에 적용되진 않는다"며 "사실 북한에 관한 협력은 중단되지 않았고 다른 부분의 긴장으로 인해 영향받지 않았다.

그들은 여전히 잘 협력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가 거론되는 것에 대한 미국의 우려도 나왔다.

한 당국자는 한국이 지소미아를 파기할 가능성과 그 영향력을 묻는 기자의 말에 "한일은 우리가 동북아 안보를 유지하기 위해 그들에게 의존하는 만큼 서로에게 의존하고 있다"며 "그중 하나라도 잃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며 서로를 방어할 우리의 능력을 떨어뜨릴 것"이라고 대답했다.

이어 "공격은 세 나라 중 어느 곳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며 "이것이 한미일이 협력해야 하는 이유다.

더 많이 협력할수록 더 좋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이 당국자는 '한국이 정보협력 협정 종료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한일이 통제 불능이 되기 전에 긴장을 줄일 수 있다는 데 희망적인가'라는 질문이 나오자, "그들에게 보내는 메시지는 이 관계가 무너지면 미국의 안보 이해관계도 위태로워진다는 것"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