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에서 '제3차 원전해체산업 민관협의회'를 열어 사용후핵연료 저장 등 원전 후행주기 분야를 집중 육성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회의에서는 원전 후행주기 분야에서 기자재 수출 등 우수사례로 세아베스틸과 두산중공업이 소개됐고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후속조치 현황과 정부지원 사항 등을 점검했다.

한국 원전산업은 설계·건설 등 선행주기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치우쳐 있어 해체·폐기물관리 등 후행주기 산업기반은 부족하다.

전세계적으로 가동 중인 원전 453기 중 30년 이상된 원전의 비중이 68%에 달한 가운데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이 12기에 이르게 된다.

특수강 생산 전문 중견기업인 세아베스틸은 글로벌 후행주기 기업인 오라노와 협력해 해체 및 방폐물 관리에 필수 기자재인 사용후핵연료 저장용기(CASK) 시제품 제작을 이달에 완료해 미국시장 진출 가능성을 높였다.

두산중공업은 자회사인 두산밥콕-셀라필드사(社) 간 계약 체결을 토대로 국내 중소기업과 함께 원전해체·방폐물 관리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 중이다.

'원전 해체산업 육성' 민관협의회…폐기물관리 분야 강화 모색
정부와 한수원 등은 2022년 이후 고리 1호기 해체를 앞두고 초기 시장을 창출하고 산업 생태계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연구개발(R&D) 자금 지원, 해체물량 조기발주 등을 추진할 계획임을 재확인했다.

원전해체 분야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올 하반기에 추가로 R&D 신규과제 참여기업을 공모할 예정으로, 9개 과제에 약 79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여러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원전해체 단위사업을 세분화해 2022년까지 총 1천640억원 조기발주를 추진할 계획이다.

올 하반기에 추가로 고리1호기 수계소화 배수설비 설계변경 등 약 120억원의 사업물량을 발주할 방침이다.

아울러 국내외 전문기관과 협력해 올해 300명 이상의 현장 전문인력 교육을 추진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