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교육청, 파업대책반 설치…"교육 활동 피해 최소화"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총파업 예고로 경기지역 학교 급식에 비상이 걸렸다.

비정규직 근로자 상당수를 차지하는 급식실 조리 종사자들이 총파업에 대거 참여할 것으로 보여 상당수 학교가 급식을 중단하거나, 빵·우유 등으로 대체하는 등 차질이 불가피하다.
경기 학교비정규직 3∼5일 총파업…'빵 급식' 불가피할듯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기지부와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는 1일 오후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총파업 돌입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2019년 임금교섭 승리, 공정임금제 실현, 교육공무직 법제화, 학교비정규직 정규직화를 위해 3일부터 사흘 이상의 전국 총파업투쟁에 돌입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노조는 파업을 피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하기 위해 교섭을 요구했으나, 사용자들이 내놓은 답변은 기본급 1.8% 인상 등 사실상 '임금동결안'이었다"라며 "교육감들은 공정임금제, 학교비정규직 문제해결을 공약으로 내걸고 정책협약까지 했으나 누구 하나 교섭타결과 문제해결에 나서지 않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이들 노조는 총파업 첫날인 3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4∼5일에는 경기도교육청과 도내 25개 지역교육지원청 앞에서 총파업투쟁을 이어갈 계획이다.

정확한 총파업 참여 규모 등은 파업 전날 발표하기로 했다.

2개 노조와 더불어 전국여성노동조합경기지부도 총파업에 참여한다.

지난 2017년 총파업 당시엔 6월 29∼30일 이틀간에 걸쳐 도내 6천300여명의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가 총파업에 참여했다.

당시 파업으로 학교 700여곳에서 급식에 차질이 생겨, 대다수 학교가 빵·우유 등으로 식사를 대체했고 일부는 단축 수업을 했다.

도 교육청은 이번 총파업도 2017년과 비슷한 규모이거나 참가자가 다소 늘 것으로 보고 대책을 마련 중이다.

도 교육청에는 파업대책반을, 각급 학교에는 상황반과 대책처리반을 설치해 학생과 학부모 피해 및 교육 활동과 교육행정 지장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도록 했다.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보이는 급식의 경우 학교 조리사 및 조리 실무사 등의 파업참여율이 50%가 넘어가면 학생이 도시락을 지참하거나 빵이나 떡, 우유, 외부 도시락 등을 학교가 제공하도록 했다.

초등학교 방과 후 돌봄교실은 담임교사 등 대체인력을 동원해 파업으로 인한 돌봄교실 중단이 없도록 했다.

한편, 도 교육청이 파악한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는 3만9천여명(2018년 4월 기준)이다.

이 가운데 조리 실무사가 1만2천여명으로 가장 많다.

행정실무사 8천여명, 조리사 2천여명, 초등보육 전담사 1천700여명, 유치원방과후전담사 1천600여명, 영양사 1천300여명 등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