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때 홍콩 문제 알리자"…홍콩 시민들, 릴레이 시위 예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6일부터 각국 총영사관 앞·도심 광장 등에서 '송환법 철회' 투쟁
친중파마저 등 돌린 캐리 람 행정장관, '침묵 모드' 일관 오는 28∼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투쟁을 알리기 위한 홍콩 시민들의 릴레이 시위가 전개된다.
25일 홍콩 빈과일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최근 홍콩 시위 참여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의 시위 주도 조직들은 26일 '19개국 영사관 방문 투쟁'을 전개하기로 했다.
이들은 G20 정상회의가 송환법 문제를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판단 아래 중국을 제외한 19개국의 주홍콩 영사관을 차례로 방문해 송환법의 문제점과 중국 정부의 홍콩 민주주의 탄압 등을 알리기로 했다.
이들은 "각국 시민들이 홍콩에서 자유로운 기업 환경과 경제 활동을 누리기 위해서는 송환법을 완전히 철회해야 한다"며 "19개국 정상들이 G20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주석에게 이를 거론하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각국 영사관 앞에서 발표할 청원을 한국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해당 국가 언어로 이미 번역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열리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때 홍콩 시위를 거론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 9일 주최 측 추산 103만 명이 참여한 시위와 16일 200만 명이 참여한 대규모 시위를 주도한 재야단체 연합 '민간인권전선'은 26일 저녁 8시 홍콩 도심인 센트럴 에든버러광장에서 대규모 시위를 전개한다.
민간인권전선은 "G20 정상회의를 맞아 송환법 반대의 뜻을 국제적으로 알려 홍콩 정부에 압력을 넣을 것"이라며 "홍콩 정부는 5대 요구사항을 즉각 수용하라"고 촉구했다.
5대 요구사항은 ▲캐리 람(林鄭月娥) 행정장관 사퇴 ▲송환법 완전 철회 ▲12일 시위에 대한 '폭동' 규정 철회 ▲12일 시위 과잉 진압 책임자 처벌 ▲체포된 시위 참여자 전원 석방 등이다.
지난 12일 수만 명의 홍콩 시민이 입법회 건물 주변에서 '범죄인 인도 법안' 저지 시위를 벌이자 경찰은 최루탄, 고무탄, 물대포 등을 동원해 강경 진압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81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당시 홍콩 경찰은 시위 참여자 32명을 체포했으며, 홍콩 행정 수반인 캐리 람 행정장관과 스테판 로 경무처장은 시위를 '폭동'으로 규정해 시민들의 거센 비난을 받았다.
홍콩 시민단체들이 모여서 만든 전홍콩반송중(反送中·송환법 반대) 연석회의는 28일 저녁 7시 입법회 주변에서 '연대 G20 민주 홍콩 집회'를 개최한다.
이들은 송환법 완전 철회는 물론 중국 중앙정부가 약속했던 '홍콩 행정장관 직선제'를 전면적으로 실현하는 등 홍콩의 미래를 위한 정치개혁을 홍콩 정부에 촉구할 계획이다.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오사카 현지에서도 송환법 완전 철회 등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질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G20 정상회의 때 홍콩 문제가 거론되는 것에 대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피력했고, 홍콩 시민들의 반대 투쟁에 직면한 캐리 람 행정장관은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캐리 람 행정장관은 이날 예정됐던 각료 회의를 취소했으며, 지난주 각계 지도자를 만나 최근 정국에 대한 의견을 들었던 것과 달리 이번 주에는 어떠한 만남도 갖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나 친중파 진영에서도 송환법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잇따라 캐리 람 장관의 고민은 더욱 커지고 있다.
홍콩 내 친중파 정당 중 최대 세력을 자랑하는 민주건항협진연맹의 스태리 리(李慧瓊) 주석은 한 방송 인터뷰에서 "정부가 사회를 치유하려는 목적에서 범죄인 인도 법안의 완전한 철회를 발표한다면, 우리 정당은 이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힘을 보태듯 친중파 정당인 자유당을 이끄는 펠릭스 청도 "캐리 람 행정장관이 이를 발표할 수 없다면 법무부 장관(율정사 사장)인 테레사 청이 법안의 철회를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캐리 람 행정장관은 홍콩 시민 약 200만 명이 참여한 대규모 시위가 열리기 전날인 지난 15일 송환법 '보류'를 발표했지만, 범민주 진영은 완전한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친중파마저 등 돌린 캐리 람 행정장관, '침묵 모드' 일관 오는 28∼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투쟁을 알리기 위한 홍콩 시민들의 릴레이 시위가 전개된다.
25일 홍콩 빈과일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최근 홍콩 시위 참여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의 시위 주도 조직들은 26일 '19개국 영사관 방문 투쟁'을 전개하기로 했다.
이들은 G20 정상회의가 송환법 문제를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판단 아래 중국을 제외한 19개국의 주홍콩 영사관을 차례로 방문해 송환법의 문제점과 중국 정부의 홍콩 민주주의 탄압 등을 알리기로 했다.
이들은 "각국 시민들이 홍콩에서 자유로운 기업 환경과 경제 활동을 누리기 위해서는 송환법을 완전히 철회해야 한다"며 "19개국 정상들이 G20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주석에게 이를 거론하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각국 영사관 앞에서 발표할 청원을 한국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해당 국가 언어로 이미 번역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열리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때 홍콩 시위를 거론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 9일 주최 측 추산 103만 명이 참여한 시위와 16일 200만 명이 참여한 대규모 시위를 주도한 재야단체 연합 '민간인권전선'은 26일 저녁 8시 홍콩 도심인 센트럴 에든버러광장에서 대규모 시위를 전개한다.
민간인권전선은 "G20 정상회의를 맞아 송환법 반대의 뜻을 국제적으로 알려 홍콩 정부에 압력을 넣을 것"이라며 "홍콩 정부는 5대 요구사항을 즉각 수용하라"고 촉구했다.
5대 요구사항은 ▲캐리 람(林鄭月娥) 행정장관 사퇴 ▲송환법 완전 철회 ▲12일 시위에 대한 '폭동' 규정 철회 ▲12일 시위 과잉 진압 책임자 처벌 ▲체포된 시위 참여자 전원 석방 등이다.
지난 12일 수만 명의 홍콩 시민이 입법회 건물 주변에서 '범죄인 인도 법안' 저지 시위를 벌이자 경찰은 최루탄, 고무탄, 물대포 등을 동원해 강경 진압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81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당시 홍콩 경찰은 시위 참여자 32명을 체포했으며, 홍콩 행정 수반인 캐리 람 행정장관과 스테판 로 경무처장은 시위를 '폭동'으로 규정해 시민들의 거센 비난을 받았다.
홍콩 시민단체들이 모여서 만든 전홍콩반송중(反送中·송환법 반대) 연석회의는 28일 저녁 7시 입법회 주변에서 '연대 G20 민주 홍콩 집회'를 개최한다.
이들은 송환법 완전 철회는 물론 중국 중앙정부가 약속했던 '홍콩 행정장관 직선제'를 전면적으로 실현하는 등 홍콩의 미래를 위한 정치개혁을 홍콩 정부에 촉구할 계획이다.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오사카 현지에서도 송환법 완전 철회 등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질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G20 정상회의 때 홍콩 문제가 거론되는 것에 대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피력했고, 홍콩 시민들의 반대 투쟁에 직면한 캐리 람 행정장관은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캐리 람 행정장관은 이날 예정됐던 각료 회의를 취소했으며, 지난주 각계 지도자를 만나 최근 정국에 대한 의견을 들었던 것과 달리 이번 주에는 어떠한 만남도 갖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나 친중파 진영에서도 송환법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잇따라 캐리 람 장관의 고민은 더욱 커지고 있다.
홍콩 내 친중파 정당 중 최대 세력을 자랑하는 민주건항협진연맹의 스태리 리(李慧瓊) 주석은 한 방송 인터뷰에서 "정부가 사회를 치유하려는 목적에서 범죄인 인도 법안의 완전한 철회를 발표한다면, 우리 정당은 이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힘을 보태듯 친중파 정당인 자유당을 이끄는 펠릭스 청도 "캐리 람 행정장관이 이를 발표할 수 없다면 법무부 장관(율정사 사장)인 테레사 청이 법안의 철회를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캐리 람 행정장관은 홍콩 시민 약 200만 명이 참여한 대규모 시위가 열리기 전날인 지난 15일 송환법 '보류'를 발표했지만, 범민주 진영은 완전한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