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獨·佛, 핵합의서 발빼려는 이란 설득 위해 '외교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이 일방적으로 탈퇴한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로부터 추가적인 이탈을 예고한 이란을 설득하기 위해 유럽지역 서명국인 영국과 독일, 프랑스가 막판 총력 외교전에 나섰다.
1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프랑스와 독일 외교수장은 이날 파리에서 만난 이란의 핵합의 이탈 대책을 논의했다.
장이브 르드리앙 프랑스 외무장관은 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이란이 핵합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독일과 공동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르드리앙 장관은 "이제 막 시작된 (이란의 핵합의 이탈을) 되돌리기 위해 (독일과) 함께 노력하고자 한다"며 "아직 시간이 있으니 모든 당사자가 더 차분하게 대응해주기 바란다.
시간은 아직 있다.
그러나 아주 짧다"고 말했다.
하이코 마스 독일 외교장관도 "걸프 지역의 전쟁 위험이 꺾이지 않았다.
모든 노력을 기울여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것이 우리가 모든 당사자와 논의에 나선 이유"라고 강조했다.
최근 미국과 이란의 핵 갈등 문제로 이란을 방문한 마스 장관은 "나는 이란에 갔었고 미국과도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대화를 통해 긴장을 줄여나가야 한다.
지금은 외교가 우선인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영국도 조만간 앤드루 머리슨 신임 중동 및 국제개발 담당 국무장관을 이란에 보내 설득 작업에 나서기로 했다.
그러나 영국 외무장관이 최근 오만해에서 벌어진 유조선 공격의 배후로 이란을 지목하면서 머리슨 장관의 설득이 효과를 거두기는 어려운 상황이 됐다.
어쨌든 유럽 내 JCPOA 서명국들의 분주한 움직임은 이란이 핵 합의 이행범위를 더 축소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나온 것이다.
이란은 미국의 일방적인 핵 합의 탈퇴 1년에 맞춰 지난달 8일 핵 합의에서 약속한 의무(핵 프로그램 동결·축소) 중 일부의 이행을 중단하는 1단계 조처를 했다.
이어 이란은 19일 핵 합의를 유지하려면 유럽 내 서명국이 7월 7일까지 응답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응답하지 않을 경우 2단계 조처가 시작된다고 강조했다.
2단계 조처는 연구용으로 목적과 수량이 제한된 우라늄 농축용 신형 원심분리기(IR-6, IR-8)의 보유량 확대와 본격 가동, 아라크 중수로 설계변경 중단 등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이란이 핵 합의를 유지하기 위해 시한을 연장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기한 안에 유럽이 의무(이란과 교역)를 다한다면 모든 조처는 첫 60일 또는 그다음 60일 안에 철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은 오만해 등에서 벌어진 유조선 피격 사건에 이란이 연루되었다는 증거가 있다며 지속해서 이란을 압박하는 한편, 추가 파병 계획을 내놓으며 긴장 수위를 높이는 형국이다.
분석가들과 다수의 아랍지역 지도자들은 미국이 이란에 대한 제재를 완화하거나 철회하지 않을 경우, 이란은 글로벌 석유산업계에서 자신들이 유발할 수 있는 혼란을 보여주려 할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다.
반면,
/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프랑스와 독일 외교수장은 이날 파리에서 만난 이란의 핵합의 이탈 대책을 논의했다.
장이브 르드리앙 프랑스 외무장관은 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이란이 핵합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독일과 공동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르드리앙 장관은 "이제 막 시작된 (이란의 핵합의 이탈을) 되돌리기 위해 (독일과) 함께 노력하고자 한다"며 "아직 시간이 있으니 모든 당사자가 더 차분하게 대응해주기 바란다.
시간은 아직 있다.
그러나 아주 짧다"고 말했다.
하이코 마스 독일 외교장관도 "걸프 지역의 전쟁 위험이 꺾이지 않았다.
모든 노력을 기울여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것이 우리가 모든 당사자와 논의에 나선 이유"라고 강조했다.
최근 미국과 이란의 핵 갈등 문제로 이란을 방문한 마스 장관은 "나는 이란에 갔었고 미국과도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대화를 통해 긴장을 줄여나가야 한다.
지금은 외교가 우선인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영국도 조만간 앤드루 머리슨 신임 중동 및 국제개발 담당 국무장관을 이란에 보내 설득 작업에 나서기로 했다.
그러나 영국 외무장관이 최근 오만해에서 벌어진 유조선 공격의 배후로 이란을 지목하면서 머리슨 장관의 설득이 효과를 거두기는 어려운 상황이 됐다.
어쨌든 유럽 내 JCPOA 서명국들의 분주한 움직임은 이란이 핵 합의 이행범위를 더 축소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나온 것이다.
이란은 미국의 일방적인 핵 합의 탈퇴 1년에 맞춰 지난달 8일 핵 합의에서 약속한 의무(핵 프로그램 동결·축소) 중 일부의 이행을 중단하는 1단계 조처를 했다.
이어 이란은 19일 핵 합의를 유지하려면 유럽 내 서명국이 7월 7일까지 응답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응답하지 않을 경우 2단계 조처가 시작된다고 강조했다.
2단계 조처는 연구용으로 목적과 수량이 제한된 우라늄 농축용 신형 원심분리기(IR-6, IR-8)의 보유량 확대와 본격 가동, 아라크 중수로 설계변경 중단 등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이란이 핵 합의를 유지하기 위해 시한을 연장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기한 안에 유럽이 의무(이란과 교역)를 다한다면 모든 조처는 첫 60일 또는 그다음 60일 안에 철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은 오만해 등에서 벌어진 유조선 피격 사건에 이란이 연루되었다는 증거가 있다며 지속해서 이란을 압박하는 한편, 추가 파병 계획을 내놓으며 긴장 수위를 높이는 형국이다.
분석가들과 다수의 아랍지역 지도자들은 미국이 이란에 대한 제재를 완화하거나 철회하지 않을 경우, 이란은 글로벌 석유산업계에서 자신들이 유발할 수 있는 혼란을 보여주려 할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다.
반면,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