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0% 이상 "소득격차 심해, 부잣집서 태어나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은 `소득격차가 너무 크고, 성공하려면 부유한 집안 출신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등 우리 사회의 평등성과 공정성에 강한 불신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소득격차는 너무 크다`는 의견에 `매우 동의` 39.7%, `약간 동의` 45.7% 등 격차가 크다는 의견이 85.4%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보사연이 전국의 성인 3천873명을 대상으로 사회갈등 인식을 조사한 결과다.
`소득격차는 너무 크다`에 대한 `매우 반대`, `약간 반대` 의견은 각각 0.2%, 2.5%에 불과했고, `동의도 반대도 아니다`는 11.9%였다.
소득격차가 너무 크다는 인식을 0점(매우 반대)부터 4점(매우 동의)으로 측정했을 때의 점수는 3.22점이었다.
`고소득자와 저소득자 사이의 소득격차를 줄이는 것은 정부의 책임이다`라는 입장에 대해서는 `매우 동의` 14.6%, `약간 동의` 41.0%로 절반 이상이 소득 격차 해소와 관련한 정부 개입에 찬성했다. 반대한다는 의견은 13.6%였고 나머지는 중립적이었다.
소득격차 뿐만 아니라 공정성에 대한 인식도 전반적으로 나빴다.
`인생에서 성공하는 데 부유한 집안이 중요하다`는 말에 동의한 비율은 80.8%(`매우 중요` 31.7%, `대체로 중요` 49.2%)로, 중요하지 않거나 보통이라고 생각한 비율(19.2%)보다 훨씬 높았다.
`한국에서 높은 지위에 오르려면 부패할 수밖에 없다`에 대한 동의 비율도 66.2%(매우 동의 14.3%, 약간 동의 47.9%)로 절반을 넘었다.
또 사회에 불평등이 팽배해 있다는 인식이 높았고 특히 사법·행정에 대한 불신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의 집행`이 평등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의견은 12.5%에 불과했다.
다양한 분야에서 `평당하다`는 데 동의한 비율은 `부의 분배`에서 7.8%에 그쳤고, `소득 분배` 8.7%, `지역에 따른 발전 수준` 9.0%, `외국인노동자 등에 대한 대우` 11.4%, `승진(승급) 기회` 12.4% 등으로 매우 낮았다.
다만, `교육 기회`가 평등하다는 의견은 47.4%로 높은 편이었다.
`일생 노력하면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매우 높다`는 의견은 1.6%로 극소수였고, `약간 높다`도 36.6%에 그쳤다. `매우 낮다`는 의견은 15.3%에 달했고, `약간 낮다`는 41.2%를 차지했다.
`자식 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변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매우 높다`는 의견은 1.6%에 불과했고, `약간 높다` 44.1%, `약간 낮다` 36.0%, `매우 낮다` 8.9% 순이었다.
보고서는 "불평등과 불공정에 대한 인식은 마지노선을 넘어서면 사회에 아노미와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며 "우리나라는 이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자살률과 가장 낮은 출산율을 기록하는 등 불안정성이 고조되고 있어 불평등·불공정 문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세대 내, 세대 간 계층이동은 열린 사회로서의 공정성을 보장하는 최후의 보루"라며 "너무 늦지 않게 교육, 노동시장, 가구소득 전반의 불평등을 줄이고 사회이동 통로를 재확보하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전략부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소득격차는 너무 크다`는 의견에 `매우 동의` 39.7%, `약간 동의` 45.7% 등 격차가 크다는 의견이 85.4%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보사연이 전국의 성인 3천873명을 대상으로 사회갈등 인식을 조사한 결과다.
`소득격차는 너무 크다`에 대한 `매우 반대`, `약간 반대` 의견은 각각 0.2%, 2.5%에 불과했고, `동의도 반대도 아니다`는 11.9%였다.
소득격차가 너무 크다는 인식을 0점(매우 반대)부터 4점(매우 동의)으로 측정했을 때의 점수는 3.22점이었다.
`고소득자와 저소득자 사이의 소득격차를 줄이는 것은 정부의 책임이다`라는 입장에 대해서는 `매우 동의` 14.6%, `약간 동의` 41.0%로 절반 이상이 소득 격차 해소와 관련한 정부 개입에 찬성했다. 반대한다는 의견은 13.6%였고 나머지는 중립적이었다.
소득격차 뿐만 아니라 공정성에 대한 인식도 전반적으로 나빴다.
`인생에서 성공하는 데 부유한 집안이 중요하다`는 말에 동의한 비율은 80.8%(`매우 중요` 31.7%, `대체로 중요` 49.2%)로, 중요하지 않거나 보통이라고 생각한 비율(19.2%)보다 훨씬 높았다.
`한국에서 높은 지위에 오르려면 부패할 수밖에 없다`에 대한 동의 비율도 66.2%(매우 동의 14.3%, 약간 동의 47.9%)로 절반을 넘었다.
또 사회에 불평등이 팽배해 있다는 인식이 높았고 특히 사법·행정에 대한 불신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의 집행`이 평등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의견은 12.5%에 불과했다.
다양한 분야에서 `평당하다`는 데 동의한 비율은 `부의 분배`에서 7.8%에 그쳤고, `소득 분배` 8.7%, `지역에 따른 발전 수준` 9.0%, `외국인노동자 등에 대한 대우` 11.4%, `승진(승급) 기회` 12.4% 등으로 매우 낮았다.
다만, `교육 기회`가 평등하다는 의견은 47.4%로 높은 편이었다.
`일생 노력하면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매우 높다`는 의견은 1.6%로 극소수였고, `약간 높다`도 36.6%에 그쳤다. `매우 낮다`는 의견은 15.3%에 달했고, `약간 낮다`는 41.2%를 차지했다.
`자식 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변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매우 높다`는 의견은 1.6%에 불과했고, `약간 높다` 44.1%, `약간 낮다` 36.0%, `매우 낮다` 8.9% 순이었다.
보고서는 "불평등과 불공정에 대한 인식은 마지노선을 넘어서면 사회에 아노미와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며 "우리나라는 이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자살률과 가장 낮은 출산율을 기록하는 등 불안정성이 고조되고 있어 불평등·불공정 문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세대 내, 세대 간 계층이동은 열린 사회로서의 공정성을 보장하는 최후의 보루"라며 "너무 늦지 않게 교육, 노동시장, 가구소득 전반의 불평등을 줄이고 사회이동 통로를 재확보하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전략부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