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는 로봇' 아틀라스 비밀 첫 공개
'맨몸'으로 UCLA 간 사연
휴머노이드가 전부 아니다
세계적인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 미국 UCLA 기계항공공학과 교수의 인생 모토다. 이 글귀는 길거리 간판, 공항, 버스 등 로스앤젤레스(LA)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대학과 지역사회가 그의 눈부신 연구성과에 보내는 헌사다.
미국 최초의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찰리’, 재난현장 구조로봇 ‘토르’ 등을 개발해 세상을 놀라게 한 홍 교수가 기상천외한 로봇을 또 내놨다. 이번엔 미국 프로농구(NBA) 선수처럼 1m가량 점프하고, 태권도 발차기로 송판을 격파하는 4족 보행로봇 ‘알프레드2’다. 그가 개발한 액추에이터(모터 감속기 등으로 구성된 부품군)를 적용했다.
홍 교수는 오는 2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 주최하는 ‘스트롱코리아 포럼 2019’에 참석해 ‘로봇은 꼭 사람처럼 생겨야 하나요?’를 주제로 강연한다. 주체할 수 없는 흥과 에너지로 가득한 그를 20일 서울에서 만났다. 아틀라스는 ‘화학적 폭발’로 백텀블링
홍 교수는 “기존 모터와 감속기로는 (미 보스턴다이내믹스의 휴머노이드 ‘아틀라스’처럼) 뛰는 로봇을 절대로 만들 수 없다”며 “완전히 새로운 액추에이터를 설계할 필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나온 것이 특수 전자기 액추에이터, 일명 ‘베어(BEAR)’다. 베어는 로봇 팔다리에 탄력을 주고 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마법의 인공근육’이다.
알프레드2는 홍 교수가 개발한 베어를 처음으로 장착한 로봇이다. 베어 덕분에 알프레드2는 토끼처럼 뛰거나 강아지처럼 걷고, 다리를 ‘V’자로 치켜올려 폴짝 뛴다. ‘파쿠르(장애물 뛰어넘기 훈련)’를 하고 백텀블링하는 아틀라스 못지않다.
홍 교수는 세계적으로 베일에 싸인 아틀라스의 비밀을 한국경제신문에 공개했다. “원래 유압식 액추에이터는 실린더 내 기름을 밀어올려 힘을 내죠. 보스턴다이내믹스는 기름을 ‘화학적으로 폭발’시키는 유일무이한 액추에이터를 개발했습니다. (보스턴다이내믹스 대표인) 마크 레이버트가 귀띔해줬는데, 어떻게 만들었는지 그 이상은 안 알려주더라고요. 이건 언론에 처음 말씀드리는 겁니다.”
공대 학부생들 ‘신선한 사고’ 독려해야
홍 교수는 미국 태생이지만 초·중·고를 모두 한국에서 나왔다. 고려대 89학번으로 입학했으나 열악한 환경에 실망해 미국으로 떠났다.
“로봇을 연구하고 싶다”며 교수연구실 문을 두드렸으나 “학부생이 무슨 연구냐”며 문전박대당한 뒤 크게 낙담했다. 이 경험은 ‘학부생이 먼저’라는 그만의 철학을 갖는 계기가 됐다. 홍 교수는 “(대학원생보다) 학부생에게 좀 더 관심을 두고 이들의 창의력을 폭넓게 지원해야 세상을 바꾸는 기술이 나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존 유이커 미 위스콘신대 교수에게서 기계공학의 기본을 배웠다. 또 유이커 교수의 제자인 레이먼드 시프라 교수가 있는 퍼듀대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땄다. 홍 교수는 “요즘도 내 제자들과 함께 유이커, 시프라 교수와 자주 만난다”며 “주변에선 ‘미국 로봇 가문 4대(代)’라고 한다”고 했다.
홍 교수는 박사과정 직후 버지니아공대의 러브콜을 받아 옮긴 뒤 내리 11년을 일했다. 로멜라(로봇공학연구소) 명칭이 탄생한 곳도 여기다. 2007년 4월 버지니아공대 조승희 총기난사 사건 때 아비규환의 현장에서 기지(奇智)를 발휘한 일화는 유명하다. 로봇 눈에 있는 카메라를 뽑아 곳곳에 던져놓고, 프로그램을 급조해 동영상을 찍으며 어디로 대피할지 학생들에게 알려준 것이다. 이는 당시 현지 언론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됐다.
꽃길을 주로 걸었을 법한 홍 교수에게도 큰 시련이 있었다. 2013년 말 UCLA로 옮기려는 그를 붙잡기 위해 버지니아공대 측은 그에게 파격적인 조건을 제안했다. 홍 교수는 그러나 “이미 UCLA 측과 계약이 끝났다”며 완곡하게 거절했다. 괘씸죄에 걸린 홍 교수는 찰리, 토르 등 그동안 개발한 로봇과 장비, 인력 모두를 빼앗겼다.
그가 개발한 시각장애인 전용 자동차 ‘브라이언’도 버지니아공대에 두고 나와야 했다. 2011년 선보인 브라이언은 이용자가 앞을 못 보더라도 특수 장갑과 좌석 등을 활용해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게 한 자동차다. 워싱턴포스트 1면을 장식한 이 자동차는 홍 교수가 떠난 뒤 버지니아공대에 ‘박제’됐다. 그 누구도 홍 교수를 대체해 연구를 지속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엄청난 위기였지만 모든 걸 잃었기 때문에 백지상태에서 새 연구 방향을 잡을 수 있었다”며 “어떤 불행한 사건에서도 언제나 희망을 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휴머노이드가 아니어도 좋다
UCLA로 이적한 뒤 그가 내놓는 로봇들은 말 그대로 ‘괴랄(괴상하고 발랄하다란 뜻의 신조어)’해졌다. 헬륨 풍선에 마치 소금쟁이 같은 다리를 붙인 로봇 ‘발루’, 침팬지처럼 두 발 또는 네 발로 걷고 뛰는 알프레드2, 스파이더맨처럼 벽을 기어오르는 6족 거미로봇 ‘실비아’ 등이다. 이전에 그는 휴머노이드를 주로 개발했다. 홍 교수는 “휴머노이드는 느리고, 무겁고, 비싸고, 잘 넘어진다”며 “로봇은 사람 모양으로 설계할 필요 없이 사람을 위해 만들면 그만”이라고 했다.
■데니스 홍 교수는…美 최초의 휴머노이드 개발한 로봇 공학자
미국 최초의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찰리’를 개발한 세계적인 로봇공학자다. 현지에서 ‘달 착륙에 버금가는 성과를 낸 과학자’ ‘21세기 레오나르도 다빈치’ 등으로 불린다. 2003년부터 10여 년간 미 버지니아공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찰리를 비롯해 재난현장 인명구조용 휴머노이드 ‘토르’, 로봇공학 교육용 휴머노이드 ‘다윈’, 시각장애인 전용 자동차 ‘브라이언’ 등을 만들었다. 2014년 UCLA로 옮긴 뒤 ‘로봇은 인간을 이롭게 해야 한다’는 철학에 따라 기상천외한 형태의 작업용 로봇(나비·실비아·발루·헥스·알프레드 등)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1971년생
△1991년 고려대 기계공학과 3학년 중퇴
△1994년 미국 위스콘신대 기계공학과 졸업
△1999~2002년 미국 퍼듀대 기계공학 석·박사학위 취득
△2003년 미국 버지니아공대 로봇메커니즘연구소(로멜라) 소장
△2007년 미국국립과학재단(NSF) 젊은과학자상, 2011년 타임지 최고 발명품상 수상
△2014년~ UCLA 로멜라 소장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