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삼바)의 분식회계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관련 회사와 기관에 대한 압수수색을 재개하며 수사 강도를 높이고 있다. 검찰이 지난해 12월 대규모 압수수색으로 포문을 연 지 4개월 만에 다시 들고나온 강제 수사 카드다.

15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이날 한국거래소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특수2부는 전날 삼성SDS 과천 데이터센터와 삼성물산 사무실 등에 대해서도 압수수색을 했다. 삼성물산-제일모직의 합병과 관련해 검찰이 담당하고 있는 모든 사건까지 최근 특수2부에 몰아준 뒤의 움직임이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검찰이 삼바의 분식회계 의혹을 삼성의 경영권 승계와 연계하겠다는 의지를 비친 것으로 해석한다. 압수수색 대상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의혹과 직접적 연관성을 갖고 있다기보다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과 관련된 곳에 집중돼서다. 수사를 지휘하는 한동훈 3차장검사나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 모두 ‘최순실 특검’에서 두 회사의 합병건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권 확보를 위한 것이었다는 수사 결과를 내놨다.

그동안 검찰 안팎에서는 검찰의 삼바 수사가 지지부진하다는 분석이 흘러나왔다. 혐의와 관련한 핵심 자료의 상당수가 영어로 쓰인 회계 전문 지식이어서 일선 검사들이 수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핵심 증인을 확보하는 데도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게 근거다. 검찰 내부 관계자는 “그동안 참고인 수십 명을 소환해 조사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검찰은 압수수색한 자료를 분석한 뒤 관련자에 대한 소환조사를 이어갈 전망이다. ‘압수수색→소환조사→압수수색’을 반복하는 전형적 특수수사 방식이다. 검찰 출신 대형 로펌 변호사는 “압수수색과 관련자 소환을 반복하면서 이미 짜놓은 뼈대(공소 내용)에 살을 붙이는 전략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법조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특수부가 칼을 빼든 만큼 성과 없이 수사를 끝낼 순 없으니 장기화가 불가피할 것”이라며 “재계에서는 수사 장기화에 따른 불확실성을 우려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