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기 앞두고 배앓이 호소하는 아이, 불안증 심하면 놀이·약물치료 받아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방수영 을지병원 정신과 교수
학교생활 적응못하는 ADHD
어릴 때 병원찾아 조기 치료를
학교생활 적응못하는 ADHD
어릴 때 병원찾아 조기 치료를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이다.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이를 둔 가정에서는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 걱정이 앞선다. 방수영 을지대 을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사진)는 “아이가 불안해할수록 보호자가 평정심을 갖고 관심과 격려를 보내야 한다”며 “학기 초 불안감 때문에 생기기 쉬운 등교거부증, 주의력결핍 등을 빨리 발견해 치료해야 한다”고 했다.
학기가 시작되면 유독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스트레스를 심하게 호소하는 아이들이 있다. 자아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한 아이들이다. 불안, 우울, 초조함, 짜증 등이 나타난다. 이유 없이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등교거부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학교 갈 시간이 되면 배나 머리가 아프다고 한다. 어지럼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병원에 데려가도 이상이 없다는 진단을 받으면 부모들은 “꾀병 부리지 말라”며 혼을 내기도 한다. 아이들의 스트레스를 부추기는 행동이다. 등교를 거부하는 아이의 상당수는 부모와 떨어지는 것에 큰 두려움을 느낀다. 부모가 학교까지 동행해 등교를 유도하고 끝난 뒤 같이 오는 방식으로 불안을 줄여줘야 한다. 배가 아프다거나 어지럽다는 신체 증상에는 무관심하게 대하고 등교하는 행동을 칭찬해야 한다. 증상이 반복되면 소아 정신건강의학과를 찾아보는 게 좋다. 방 교수는 “보호자와 이별하는 것에 두려움이 있는 아이는 놀이치료로 극복하거나 불안 정도가 심할 땐 항우울제 또는 항불안제를 쓴다”며 “보호자가 아이보다 불안함 우울함을 더 느껴 과잉보호하거나 독립 행동을 방해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보호자도 함께 상담받아야 한다”고 했다.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 중에는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 환자도 많다. 유치원을 다니거나 초등학교 저학년일 땐 집중력이 떨어지고 과잉 행동을 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학습량이 늘어나는 고학년이 되면 얘기가 다르다. ADHD가 있는 아이들은 잘못을 꾸짖어도 시간이 지나면 산만해져 효과가 없다. 이 때문에 꾸지람을 더 하면 스스로에 대해 부정적 인식만 갖게 된다. 어릴 때 치료하지 않으면 성적이 계속 떨어지고 학업에 흥미를 잃는다. 수업시간에 집중하지 못하는 악순환만 계속된다. 평소 아이가 산만한 성격이라면 선생님과 충분히 상담하고 협조를 구해야 한다. 의료기관에서 치료제를 처방받고 상담치료를 받는 것도 고려해봐야 한다.
의미없는 행동을 반복하는 틱 장애를 호소하는 아이도 많다. 사람은 누구나 긴장하거나 어색할 때 반복하는 버릇이 있다. 발을 덜덜 떨거나 헛기침을 하고 손톱을 깨물기도 한다. 머리를 긁거나 어깨를 으쓱대는 것도 마찬가지다. 버릇은 금방 없어지기도 하지만 평생 반복되기도 한다. 의식하지 못한 채 특정 동작을 반복하거나 특정한 소리를 낸다면 틱 장애일 가능성이 있다. 이마를 찌푸리거나 눈을 깜박이거나 어깨를 으쓱대거나 코에 주름을 짓는 등 단순한 행동들이다. 머리를 끄덕이거나 흔들고 목을 비틀고 팔과 손을 급히 흔드는 증상도 많이 호소한다. 소리를 내기도 한다. ‘음, 음’ 같은 의미없는 소리를 시도 때도 없이 내거나 욕하기도 한다. 다른 사람의 말을 따라하는 틱도 있다. 틱 증상을 호소하는 아이들은 비교적 흔하다. 긴장하거나 불안해하지 않도록 스트레스를 줄여줘야 한다. 어른들이 틱에 대해 많이 지적하거나 야단치는 것을 삼가야 한다. 방 교수는 “1년 이상 지속되는 만성 틱 장애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동작과 음성 틱이 한꺼번에 나타나면 투렛장애라는 심각한 질환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틱 장애는 가벼운 뇌 이상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추정된다. 불균형한 뇌 상태를 교정하기 위해 약물치료를 하면 도움이 된다. 놀이치료, 행동치료 등도 활용한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학기가 시작되면 유독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스트레스를 심하게 호소하는 아이들이 있다. 자아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한 아이들이다. 불안, 우울, 초조함, 짜증 등이 나타난다. 이유 없이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등교거부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학교 갈 시간이 되면 배나 머리가 아프다고 한다. 어지럼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병원에 데려가도 이상이 없다는 진단을 받으면 부모들은 “꾀병 부리지 말라”며 혼을 내기도 한다. 아이들의 스트레스를 부추기는 행동이다. 등교를 거부하는 아이의 상당수는 부모와 떨어지는 것에 큰 두려움을 느낀다. 부모가 학교까지 동행해 등교를 유도하고 끝난 뒤 같이 오는 방식으로 불안을 줄여줘야 한다. 배가 아프다거나 어지럽다는 신체 증상에는 무관심하게 대하고 등교하는 행동을 칭찬해야 한다. 증상이 반복되면 소아 정신건강의학과를 찾아보는 게 좋다. 방 교수는 “보호자와 이별하는 것에 두려움이 있는 아이는 놀이치료로 극복하거나 불안 정도가 심할 땐 항우울제 또는 항불안제를 쓴다”며 “보호자가 아이보다 불안함 우울함을 더 느껴 과잉보호하거나 독립 행동을 방해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보호자도 함께 상담받아야 한다”고 했다.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 중에는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 환자도 많다. 유치원을 다니거나 초등학교 저학년일 땐 집중력이 떨어지고 과잉 행동을 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학습량이 늘어나는 고학년이 되면 얘기가 다르다. ADHD가 있는 아이들은 잘못을 꾸짖어도 시간이 지나면 산만해져 효과가 없다. 이 때문에 꾸지람을 더 하면 스스로에 대해 부정적 인식만 갖게 된다. 어릴 때 치료하지 않으면 성적이 계속 떨어지고 학업에 흥미를 잃는다. 수업시간에 집중하지 못하는 악순환만 계속된다. 평소 아이가 산만한 성격이라면 선생님과 충분히 상담하고 협조를 구해야 한다. 의료기관에서 치료제를 처방받고 상담치료를 받는 것도 고려해봐야 한다.
의미없는 행동을 반복하는 틱 장애를 호소하는 아이도 많다. 사람은 누구나 긴장하거나 어색할 때 반복하는 버릇이 있다. 발을 덜덜 떨거나 헛기침을 하고 손톱을 깨물기도 한다. 머리를 긁거나 어깨를 으쓱대는 것도 마찬가지다. 버릇은 금방 없어지기도 하지만 평생 반복되기도 한다. 의식하지 못한 채 특정 동작을 반복하거나 특정한 소리를 낸다면 틱 장애일 가능성이 있다. 이마를 찌푸리거나 눈을 깜박이거나 어깨를 으쓱대거나 코에 주름을 짓는 등 단순한 행동들이다. 머리를 끄덕이거나 흔들고 목을 비틀고 팔과 손을 급히 흔드는 증상도 많이 호소한다. 소리를 내기도 한다. ‘음, 음’ 같은 의미없는 소리를 시도 때도 없이 내거나 욕하기도 한다. 다른 사람의 말을 따라하는 틱도 있다. 틱 증상을 호소하는 아이들은 비교적 흔하다. 긴장하거나 불안해하지 않도록 스트레스를 줄여줘야 한다. 어른들이 틱에 대해 많이 지적하거나 야단치는 것을 삼가야 한다. 방 교수는 “1년 이상 지속되는 만성 틱 장애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동작과 음성 틱이 한꺼번에 나타나면 투렛장애라는 심각한 질환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틱 장애는 가벼운 뇌 이상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추정된다. 불균형한 뇌 상태를 교정하기 위해 약물치료를 하면 도움이 된다. 놀이치료, 행동치료 등도 활용한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