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아카데미 시상식` 보헤미안 랩소디 4관왕…라미 말렉 男주연상
`로마` `그린 북` `블랙 팬서` 각각 3관왕

24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돌비극장에서 열린 2019 제91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가 4관왕을 차지했다.

전 세계 `퀸 열풍`을 불러일으킨 `보헤미안 랩소디`는 남우주연상, 음향 효과상, 음향편집상, 편집상 4개 부문에서 트로피를 휩쓸었다.

`보헤미안 랩소디`는 프레디 머큐리와 전설의 록밴드 퀸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이 영화에서 퀸의 리드 싱어 프레디 머큐리의 삶과 음악을 완벽하게 소화한 라미 말렉은 이날 `2019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라미 말렉은 "저는 이집트에서 이민 온 가정의 아들"이라며 "이런 스토리를 쓰고 이야기할 수 있어 더욱더 감사하다"며 감동적인 수상 소감을 밝혔다.

그는 무대 위에 올라 가족과 스태프 등에 감사를 표한 뒤 "정말 역사적인 순간"이라며 "의심이 있었지만 저희가 잘 해냈다고 생각한다. 또 밴드 퀸에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여우주연상은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에서 열연한 올리비아 콜맨에 돌아갔다. 18세기 영국 왕실을 무대로 여왕 앤과 측근, 하녀까지 세 여성이 벌이는 팽팽한 신경전을 다룬 이 작품에서 콜맨은 절대 권력을 지녔지만 히스테릭하고 변덕스러운 앤을 다층적으로 표현해 찬사를 받았다.

가장 관심을 끈 작품상 트로피는 `그린 북`(피터 패럴리 감독)에 돌아갔다.

`그린 북`은 1960년대 초 미국을 배경으로 이탈리아계 이민자 출신 토니 발레롱가(비고 모텐슨 분)와 흑인 천재 피아니스트 돈 셜리(마허셜라 알리)의 특별한 우정을 그린 작품으로, 아카데미가 선호하는 실화 영화인 데다 인종차별 등 묵직한 주제를 담아 작품상 수상 가능성이 점쳐지기는 했다. 그러나 막상 가장 강력한 수상 후보였던 `로마`를 꺾고 작품상을 받자 `이변`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올해 최대 화제작으로 꼽힌 `로마`는 감독상과 촬영상, 외국어영화상 3개 부문에서 트로피를 안았다. `로마`는 멕시코 출신 알폰소 쿠아론 감독이 자신을 어머니처럼 돌봐준 유년 시절 유모를 추억하며 모국에서 현지어(스페인어)를 사용해 흑백 영상으로 만든 영화다.

아카데미 시상식 최초로 넷플릭스 영화가, 또 영어가 아닌 외국어로 제작된 영화가 작품상을 받을지 관심이 쏠렸으나, 작품상 수상에는 실패했다.

알폰소 쿠아론 감독은 3개 부문 수상자로 이날 세 차례나 무대 위에 직접 올라 각기 다른 수상 소감을 전했다.

이하 `2019 아카데미 시상식` 수상자·수상작 명단

▲ 작품상 = `그린 북`

▲ 감독상 = 알폰소 쿠아론(`로마`)

▲ 남우주연상 = 라미 말렉(`보헤미안 랩소디`)

▲ 여우주연상 = 올리비아 콜맨(`더 페이버릿`)

▲ 각본상 = `그린 북`

▲ 각색상 = `블랙클랜스맨`

▲ 남우조연상 = 마허셜라 알리(`그린 북`)

▲ 여우조연상 = 리자이나 킹 (`이프 빌 스트리트 쿠드 토크`)

▲ 편집상 = `보헤미안 랩소디`

▲ 촬영상 = `로마`

▲ 미술상 = `블랙 팬서`

▲ 의상상 = `블랙 팬서`

▲ 분장상 = `바이스`

▲ 시각효과상 = `퍼스트맨`

▲ 음악상 = `블랙 팬서`

▲ 주제가상 = `셸로`(`스타 이즈 본`)

▲ 음향편집상 = `보헤미안 랩소디`

▲ 음향효과상 = `보헤미안 랩소디`

▲ 외국어영화상 = `로마`

▲ 장편 애니메이션상 =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 단편 애니메이션상 = `바오`

▲ 단편영화상 = `스킨`

▲ 장편 다큐멘터리상 = `프리 솔로`

▲ 단편 다큐멘터리상 = `피리어드. 엔드 오브 센텐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