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당국자 "작년말 북미교착, 北 내부 문제인듯…친서외교로 톱다운 타개"
"트럼프, 집무실서 협상팀으로부터 北관련 진행상황 정기적으로 보고받아"
"한번에 '패' 테이블에 다 내놓진 않아…정상회담 직전까지 '주고받기'"
"비건 방북때 핵전문가도 동행…트럼프, 협상팀에 '멀리 가봐라'"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의 지난 6∼8일 방북 당시 국무부 협상팀뿐 아니라 핵·미사일 전문가들과 국제법 전문가들도 함께 평양행에 나섰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정기적으로 북한 문제에 대해 보고를 받고 진행 상황을 직접 챙기며 협상팀에 "갈 수 있는 한 멀리 가보라"고 독려하는 등 문제 해결에 전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협상 관련 뒷이야기들은 미정부 고위당국자의 21일(현지시간) 전화 브리핑에서 공개됐다.

미 정부 당국자는 비건 특별대표와 김혁철 북한 국무위원회 대미 특별대표의 '평양 담판'을 위한 방북팀 면면과 관련, 방북팀이 총 16명으로 구성됐고 "국제법 전문가들과 여러 명의 국무부 협상팀 소속 멤버들뿐 아니라 미사일 전문가, 핵 전문가들도 포함됐다"고 소개했다.

이어 북미는 평양 담판에서 3일간 양측의 이슈 전체에 대해 살펴볼 기회를 가졌으며, 하노이 정상회담에 앞서 이번 주 다시 만나기로 합의했었다고 이 당국자는 전했다.

북미는 다양한 이슈에 대한 양측간 간극을 좁히기 위한 '하노이 실무협상'을 시작했으며 내주 2차 북미 정상회담 직전까지 협상을 통해 조율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이 당국자는 밝혔다.

'북한이 선의를 갖고 협상한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뭐냐'는 질문에 이 당국자는 나는 우리가 진정한 협상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적으로 생각한다.

모든 사람이 한 번의 협상에 자신들의 핵심 사항들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지는 않는다"며 "우리가 전체 약속들을 조율해가는 동안 진행되는 과정과 '주고받기'(Give and Take)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지난해 하반기 북미대화의 답보 배경 및 타개 과정도 설명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8일 뉴욕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북미 고위급 회담이 취소되는 등 11∼12월 북미 간 교착국면이 이어진 데 대해 "그 이유가 우리에겐 완전히 분명하진 않지만 아마도 그들이 다시 들여다보던 내부적 이슈들과 관련됐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교착의 이유로 '북한 내부 사정'에 무게를 뒀지만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았다.

이어 "어쨌든 지난해 12월 말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친서 교환을 통해 대화가 완전히 본궤도에 다시 올랐다"며 연말 '친서 외교'를 통한 두 정상의 톱다운식 소통이 중대 돌파구가 됐다고 평가했다.

1월 1일 김 위원장 신년사를 시작으로 김 위원장의 방중과 북·중 정상회담 개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의 방미 등의 숨 가쁜 일련의 일정들이 전개됐다는 것이다.

이 당국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긴급한 시간표는 갖고 있지 않다", "핵 실험이 없는 한 서두를 게 없다"며 연일 '속도조절론'을 거론하는 것과 관련, 북한과의 협상 목표 등에서 후퇴한 게 아니냐는 미국내 회의론에 대한 차단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 당국자는 "대통령이 '서두를 게 없다'고 말한 것이 그가 북한팀에 북한 문제에 매진하라고 지시하지 않았다는 것을 뜻하진 않는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실제 비건 특별대표와 북한 관련 팀 멤버들을 정기적으로 오벌 오피스(백악관 집무실)로 불러 진행 상황을 업데이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 문제에 있어 진전을 기대하며 면밀히 주시하고 있고, 이슈의 중요성에 대해 분명히 인지하고 있다"며 "대통령이 협상팀에 '할 수 있는 한 멀리 움직여보라'고 독려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것이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하기 위한 시간에 기꺼이 전념하려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미 정보당국이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서를 내놓은 것과 관련, "이러한 정보기관 평가에 대해 좌절감을 느끼는 지점 중 하나는 이러한 평가가 정책과 완전히 괴리돼 있다는 것"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북한이 대량살상무기(WMD)를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바로 이를 막기 위해 외교정책을 구사하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으로 하여금 다른 선택을 하도록 설득하는 데 최우선 순위를 둬온 이유라는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