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애 건국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3~4기 폐선암 환자 중 EGFR 유전자 변이가 진행돼 표적항암제 치료를 받는 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연구했더니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11일 발표했다.
김 교수팀은 연구 대상 환자를 비흡연자(91명), 10년 이하 흡연자(12명), 11~30년 흡연자(22명), 30년 이상 흡연자(17명)로 나눠 무진행생존기간(PFS)과 전체생존기간(0S)을 분석했다.
그 결과 비흡연자의 PFS 중간값은 11.7개월이었지만 10년 이하 흡연자 11개월, 11~30년 흡연자 7.4개월, 30년 이상 3.9개월 순으로 흡연기간이 길수록 PFS 값이 점차 짧아졌다. 김 교수는 "아무리 효과가 좋은 표적 항암제를 복용하더라도 이전 흡연량이 많은 환자는 효과 유지기간이 짧다는 의미"라고 했다.
OS 중간값도 비흡자는 33.6개월이었지만 10년 이하 흡연자 26.3개월, 11~30년 흡연자 20개월, 30년 이상 흡연자 8.9개월 순으로 짧아졌다. 김 교수는 "환자 흡연기간과 흡연 양이 많을수록 표적 항암치료 약물효과가 3~4배까지 떨어졌다"며 "금연은 폐암 발생을 예방하는 것 뿐 아니라 폐암이 생긴 뒤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에도 도움된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