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 통증 호소하는 척추관협착증, 허리디스크와의 차이점은?
허리디스크는 척추 사이 충격을 완화해주는 디스크가 노화현상으로 닳고 터져 그 안의 내용물이 바깥으로 비집고 나오는 질환이다. 보통 허리디스크는 주변의 척수 신경이 눌리면 통증이 생기거나 이상 감각을 느끼고는 한다.

또 허리에서 시작해 엉덩이와 다리로 방사되는 통증과 저린 증상을 호소하며, 허리를 굽힐수록 통증이 더 커진다. 보통 환자들의 경우 양말을 신거나 머리 감을 때 많이 아파하고, 또 오래 앉아 있는 것도 힘들어한다.

반대로 척추관 협착증은 허리를 펴기가 어렵고 걷다 보면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허리를 구부리고 잠을 자거나 통증이 생길 때 주저앉아 쉬어야 살만하다고 한다. 척추관 협착증은 척수를 둘러싸고 있던 척수관의 벽이 노화로 두꺼워지면서 척수를 압박하는 질환이다.

의정부 참튼튼병원 척추외과 김도근 원장은 "허리디스크는 대체적으로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발병하며 경직된 업무 환경에서 일하는 젊은 연령층에서도 통증을 호소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척추질환은 시간이 흐른다고 좋아지는 병이 아니므로 병원 방문을 미루지 말고 정확하게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김 원장은 "허리 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 증상이 의심된다면 보존적 치료법이나 비수술적 치료법을 통해 어느 정도 증상 및 통증을 호전시킬 수 있다"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전문의와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현명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