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위원회 내주 北인권결의안 상정 예정
유엔 北인권결의 논의 본격화…특별보고관 "인권상황 개선없어"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은 23일(현지시간) 한반도 화해 모드 속에서도 북한의 인권상황에는 별다른 개선이 없다고 비판했다고 AP·AFP통신이 전했다.

킨타나 특별보고관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반도) 안보와 평화, 번영에 대한 중요한 진전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인권상황은 현장에서 달라진 게 없다"고 말했다.

킨타나 특별보고관은 남북 화해 기류와 1차 북미정상회담을 각각 이례적이고 매우 중요한 진전이라고 호평하면서도 "남북 정상 공동선언이나 북미 정상의 싱가포르 공동성명 모두 인권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다"며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당장은 인권 문제보다 북핵 이슈에 주력해야 하는 상황을 이해한다면서도 "북한은 이 (인권) 문제에서 고립을 끝낼 것이라는 점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북한의 농촌 지역이나 정치범 수용소의 인권상황에 우려를 표시했다.

그는 북한 인권 이슈가 미국의 우선순위에서 빠질 가능성을 거론하는 질문에는 "유엔주재 미국 대표부는 인권 문제가 우선순위라는 입장을 매우 분명히 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킨타나 특별보고관은 대북 인도적 지원을 강조하는 기존 입장도 재확인했다.

킨타나 특별보고관은 이런 입장을 담은 보고서를 유엔총회 산하 제3 위원회(인권담당)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유럽연합(EU)과 일본은 새로운 북한 인권결의안을 공동 작성 중이며, 다음 주 제3 위원회에 상정할 예정이다.

다음 달 중순 제3 위원회 채택 절차를 거쳐 오는 12월 유엔총회에 상정된다.

유엔은 2005년 이후로 지난해까지 13년 연속으로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해왔다.

이와 관련,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2일 논평에서 "인권 문제를 구실로 불순한 정치적 목적을 추구하려는 어떠한 시도에 대해서도 절대로 수수방관하지 않을 것"이라며 "인권 문제를 구실로 우리에 대한 제재압박의 도수를 더욱 높이고 좋게 발전하는 대화·평화 흐름에 장애를 조성하려는 고의적인 정치적 도발"이라고 비난한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