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수 일가 지분 20% 넘으면 규제…재계 '초비상'
SK, 해운업 철수…LG는 서브원 MRO 사업부 매각
코오롱·LS 등도 지분 정리…공정위 압박에 선제대응
"규제 기준 수시로 바꾸는 탓에 경쟁력 약화될 수도"
SK그룹은 36년 만에 해운업에서 손을 떼기로 결정했다. SK해운 지분 80~90%를 사모펀드(PEF)인 한앤컴퍼니에 파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SK해운이 업황 부진과 차입금 부담 때문에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주된 이유지만, 결정타는 일감몰아주기 규제 강화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공정위가 마련한 공정거래법 전부 개정안은 총수 일가 지분이 20% 이상인 계열사와 그 계열사가 지분을 50% 넘게 보유한 자회사를 일감몰아주기 규제 대상에 새로 포함시켰다. 기존(총수 일가 지분 30% 이상 상장사 및 20% 이상 비상장사)보다 대상이 대폭 확대됐다. SK해운은 지주회사인 SK(주)가 지분 57.22%를 가진 비상장사다. SK(주)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3.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공정거래법이 개정되면 SK해운은 규제 대상에 포함돼 내부 거래 비중을 줄여야 한다. SK해운의 지난해 내부 거래 비중은 34%였다.
최 회장의 사촌 동생인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은 지난달 자신이 갖고 있던 SK디앤디 지분 24%(약 1700억원) 전량을 한앤컴퍼니에 매각했다. SK디앤디도 공정거래법이 개정되면 규제 대상에 포함된다.
LG그룹은 지난달 19일 비상장 계열사 서브원의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사업부를 떼어내 별도 법인을 설립한 뒤 사모펀드 등에 지분을 팔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서브원은 지주사인 (주)LG가 지분을 100% 보유하고 있다. 구광모 회장 등 총수 일가는 (주)LG 지분을 46.68% 갖고 있다. 지난해 매출의 약 60%가 내부 거래에서 나왔다. 서브원도 새 규제 대상 기업이다.
총수 일가가 보유한 특정 계열사 지분을 정리하는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은 지난 8월 정보기술(IT) 서비스 계열사인 코오롱베니트 지분 전량(49%)을 코오롱에 현물 출자했다. 코오롱은 이 회장에게 신주 56만여 주를 발행했다. LS그룹도 총수 일가가 보유하고 있던 가온전선 지분(37.62%)을 LS전선에 매각했다.
한화는 지난해 김승연 회장의 세 아들이 주식을 전량 보유하고 있던 한화S&C를 에이치솔루션(존속)과 한화S&C(신설)로 물적 분할했다. 신설 회사인 한화S&C 지분 44.6%를 스틱인베스트먼트 등에 넘겼고, 지난달엔 한화S&C를 한화시스템에 합병시켜 사익 편취 논란을 해소했다.
◆삼성 등도 계열사 매각 나서나
삼성그룹에서는 단체급식 업체인 삼성웰스토리가 대표적인 신규 규제 대상이다. 투자은행(IB)업계에서는 삼성이 웰스토리를 제3자에게 매각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정부의 압박 때문에 알토란같이 키워온 사업을 내줘야 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순환출자구조 해소를 위한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준비하는 현대차그룹도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와 이노션 등이 규제 대상에 포함되면서 지배구조 개편 작업이 꼬일지 모른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주사 체제를 도입한 그룹들은 다급해졌다. 대부분 지주회사는 총수 일가 지분율이 높아 일감 몰아주기 규제 대상에 포함되고, 이런 지주사가 지분을 50% 넘게 보유한 자회사도 앞으로 일감 몰아주기 규제를 받게 되기 때문이다. 한 지주사 관계자는 “정부가 지주회사의 자회사 지분율을 높이라고 해서 거기에 따랐을 뿐인데, 그 결과 일감몰아주기 규제 대상에 포함되게 생겼다”며 “다양한 방안을 놓고 고민하고 있지만 뚜렷한 해법이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도병욱/고재연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