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비핵화 실현, 평화 체제 구축과 병행해야"
中왕이 "대북제재 완화 논의 필요… 6자회담은 필요한 플랫폼"
북핵 협상과 종전 선언 등이 남북한과 미국 주도로 돌아가는 가운데 중국이 대북제재 완화 논의의 필요성과 6자 회담을 거론하며 북핵 협상 과정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는 미국의 반대에도 한반도 운명을 좌우하는 북핵 협상에서 중국이 배제되는 '차이나 패싱'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28일 중국 외교부와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 등에 따르면 왕이(王毅)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27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소집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한반도 문제 공청회에서 이런 입장을 표명했다.

왕 국무위원은 "중국은 남북정상이 내린 정치적 결단을 높이 평가하며 양측이 정상회담의 공동 인식을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도록 확고히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왕 국무위원은 "올해 들어 한반도 정세에 중요하고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면서 "한반도 문제가 대화와 담판의 궤도로 다시 돌아오고 북남관계에 전면적인 개선과 발전이 실현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중국은 북미 양측이 더욱 많은 성과를 거두도록 대화를 유지하고 마주 보며 나아가는 것을 지지한다"면서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 목표 실현, 한반도 평화와 안정 유지, 대화와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이라는 입장이 확고부동하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날 한반도 정세의 긍정적인 진전은 중국이 추구하는 목표이기도 하며 현 시점에서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가속하기 위해서는 안보리가 명확하고 일치된 신호를 보낼 필요와 책임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문제의 본질은 안보문제이기 때문에 한반도 평화 실현의 관건은 각국의 합리적인 안보 우려를 적절하고 균형 있게 해결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왕 국무위원은 또 "각국은 완전히 비핵화된 한반도 구축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면서 "한반도 비핵화는 영구적인 평화를 실현하는 중요한 전제 조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북한이 핵·미사일 실험을 중단한 가운데 관련 시설을 폐기하고, 또 한미가 대규모 군사훈련을 중단한 상황에서 조만간 종전선언을 발표하려는 것은 각국 간 기본 신뢰 건설과 핵 폐기, 평화협정 달성 조건을 쌓는 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관련국들은 당연히 전면적이고, 완전하게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이행해야 한다"면서 "그러나 제재 목적은 압박이 아니라 정치적인 문제 해결을 이끄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왕 국무위원은 대북제재 해제와 관련해서는 "중국은 안보리가 적절한 시기에 대북제재를 완화하는 조치를 가동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를 통해 북한과 관련국이 비핵화를 향해 큰 걸음을 내디딜 수 있도록 고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한반도 비핵화 실현의 가장 효과적인 방식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병행해서 추진하고 해결하는 것"이라면서 "이런 프로세스를 추진하는 주요 당사국은 북미지만 모든 유관국은 이를 위해 각자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6자 회담은 여전히 없어서는 안 될 다자 플랫폼이며 안보리도 국제적인 보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사회는 북한이 경제발전에 집중하는 노선으로 전환하기로 한 결정을 환영해야 한다"면서 "중국은 유관국들이 정치적 용기를 가지고 대화와 담판을 추진해 한반도의 영구적인 평화를 함께 개척하길 호소하며 중국은 이를 위해 마땅한 공헌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