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10대와 20대 고객을 잡기 위한 통신업계의 움직임이 분주합니다.

이통사들은 저마다 데이터 할인이나 문화생활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내놓고 있는데, 세대차별 논란과 ‘퍼주기’식 마케팅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20년 만에 다시 출시된 이통사들의 ‘1020요금제’ 정책의 의미를 송민화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영(young)한` 세대를 위한 SK텔레콤의 새로운 요금제, ‘0’플랜과 만 24세 이하 고객들을 위한 KT의 ‘Y24 ON` 요금제가 최근 잇따라 출시됐습니다.

이들 이통사의 요금제는 동영상 시청이나 디지털 소비가 많은 젊은 층 특성에 맞게 데이터 제공이나 동영상 콘텐츠를 강화한 것이 특징.

SK텔레콤은 오늘(4), ‘0’플랜 요금제에 맞는 6가지 혜택을 선보였습니다.

데이터를 충전하거나 단골 매장 방문 시 추가 할인을 해주는 등 1020세대의 입맛에 맞췄습니다.

특히, ‘0’캠퍼스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이 등록한 대학에서 1GB의 데이터와 100GB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무료로 지원하기로 하고, 가입 비중이 20% 이상일 땐 2기가의 데이터를, 30% 이상일 땐 3기가를 지급하는 등 신규 가입자를 적극적으로 늘리기 위한 포석도 깔아 놨습니다.

KT도 이에 맞서 만 24세 이하 고객을 위한 ‘Y24 ON`요금제 혜택을 선보였습니다.

수능 세대와 군대 전역 세대와 같이 다양한 세대에게 데이터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은 물론 동영상 콘텐츠를 최대 50%까지 할인해주거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저가에 지원하는 등 젊은 세대의 생애 주기에 맞춘 혜택 설계가 가장 큰 특징입니다.

LG유플러스도 조만간 1020세대를 겨냥한 요금제 출시 계획을 밝히면서 과거 SK텔레콤의 `TTL` 아성에 KT와 LGU+가 각각 ‘나’와 ‘카이’브랜드로 유치전을 펼쳤던 20년 전 모습이 재현되는 양상입니다.

이통사 관계자들은 1020세대가 3040세대가 되면서 충실한 ‘캐시카우’역할을 했던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략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손인혁 / SKT MNO사업지원그룹 PL

"40대, 50대, 30대들이 20년 전 받은 긍정적 경험이 아직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확신하고 있고 10년, 20년이 지나면 충분히 당사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흘러갈 거라 확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세대를 아울러야 할 마케팅이 특정 세대에 집중되면서 세대 차별 논란이 불거지는 점이나 5G 시대를 대비한 콘텐츠나 혜택들이 아직 마련되지 않은 점은 개선해야 할 부분입니다.

또, 과거 SK텔레콤이 1020세대 통신 시장 점유율에서 승자였다면, 혜택의 선택폭이 다양해진 지금은 300만 젊은 고객이 어디로 갈지 예측하기 쉽지 않아 시장 선점을 위한 이통사들의 킬러콘텐츠가 우선적으로 확보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한국경제TV 송민화입니다.

송민화기자 mhsong@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