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외국인은 국내 상장주식을 팔고 상장채권은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주식은 석 달 연속 팔았고 채권은 6개월째 사들였다.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외국인이 상장주식 7천150억원어치를 순매도해 4월 이후 석 달째 '팔자' 기조를 이어갔다고 16일 밝혔다.

영국이 1조2천억원 순매도한 것을 비롯해 케이맨제도(3천억원), 캐나다(2천700억원), 룩셈부르크(2천500억원) 등도 매도 우위를 보였다.

반면 싱가포르는 1조4천억원을 순매수했고 호주(1천200억원)와 오만(1천억원)도 매수 우위였다.

지난달 말 현재 외국인의 상장주식 보유액은 596조9천억원으로 전체 시가총액의 31.9% 수준이었다.

미국의 보유액이 249조3천억원으로 외국인 전체의 41.8%를 차지했고 영국 47조9천억원(8.0%), 룩셈부르크 38조3천억원(6.4%), 싱가포르 31조7천억원(5.3%), 아일랜드 23조8천억원(4.0%) 등 순이다.

또 일본의 상장주식 보유액은 14조5천억원(2.4%), 중국은 11조7천억원(2.0%)으로 각각 집계됐다.

외국인은 상장채권의 경우 지난달 2조610억원을 순투자했다.

올해 들어 6개월 연속 순투자다.

매수액이 10조2천억원에 달한 반면 매도액은 2조4천억원에 그친 가운데 만기 상환액이 5조7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순투자 규모는 5월(3조3천억원)보다는 줄었다.

지역별 순투자 규모는 아시아 1조2천억원, 유럽 9천억원, 미주 5천억원 등이다.

채권 종류별로는 국채의 경우 3조3천억원 순투자를 보였지만 통안채는 1조4천억원 순유출을 기록했다.

잔존만기별로는 1~5년 미만짜리에 3조2천억원이 순투자되고 1년 미만은 1조8천억원의 순유출을 나타냈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외국인의 상장채권 보유액은 110조6천억원으로 전체 상장채권의 6.4%에 달했다.

이는 전월 말 기록한 역대 최대 규모를 다시 경신한 것이다.

아시아가 50조4천억원으로 외국인 보유액의 45.6%를 차지했고 유럽이 36조2천억원(31.9%), 미주 10조9천억원(9.9%) 등 순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