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말 20000달러에 육박했던 비트코인 가격이 오늘부로 3분의 1 토막이 났는데요. 이럼에 따라 가상화폐 앞날이 어떻게 될 것인가가 관심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워낙 지난한해 가상화폐가 최대 화두가 됐던 만큼 이 시점에서 정리해 보는 것도 의미가 크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는데요.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비트코인 가격이 오늘부터 3분의 1 토막이 났는데요. 그 움직임부터 말씀해 주시지요.

-지난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투기열풍

-연초 1000달러->12월말 19282달러 급등

-비트코인 이외 다른 가상화폐 동반 상승

-12일 비트코인 6100달러대, 3분의 1토막

-가상화폐 상장과 상품 준비 금융사, 낭패

한때 5만달러까지 갈 것이라고 예상됐던 비트코인 가격이 단기간에 왜 이렇게 급락하는 것입니까?

-비트멕스 CEO 헤이서, 올해 말 5만 달러

-17세기 네덜란드 튤립 투기를 연상케 해

-`flash crash` 등 돌발 사태 잇달아 발생

-G20 차원에서 가상화폐 규제 방안 마련

-한국 주도, 가상화폐 투기 강력대책 주효

방금 한국이 가상화폐 가격이 폭락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했다고 말씀하셨는데요. 왜 그렇습니까?

-공급곡선 수직, 수요변화 가격만으로 조정

-수요 증가->수요곡선 우측이동->가격급등

-수요 감소->수요곡선 좌측이동->가격폭락

-세계 거래 20%, 비트코인 투기 200만명 시대

-한국 가상화폐 위축->세계 가상화폐 직격탄

작년말에 우리 정부가 비트코인에 대해 강도있는 대책을 발표하지 않았습니까? 당시에 대책 내용을 잠시 살펴보고 가지요.

-투기광풍과 사회병리 등 부작용 위험단계

-한국 정부, 고심 속 강력규제 쪽으로 가닥

-‘규제’가 올바른 정책방향이냐 놓고 논쟁

-4차 산업혁명 기폭제 중시, 선진국 제도화

-가상화폐 정책변화, 올해 들어 투 트랙 전환

비트코인 가격이 3분의 1 토막이 난 상항에서 각국의 입장이 어떻게 변했는지도 궁금한데요. 비트코인 가격이 올라갈 때와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까?

-가격상승 때 일본 등은 공식 법정화 시사

-크리스틴 라가르드, 비트코인 법정화 고민

-더들리 전 뉴욕 연은 총재, 비트코인 법정화 검토

-중국, 한국 등은 투기 간주 ‘규제’로 가닥

-법정화 검토국, 가격 폭락함에 따라 ‘중립적’

한 가지 궁금한 것은 지난 2월 베네주엘라 마두라 정부가 가상화폐인 페트로를 발행했지 않습니까? 과연 성공했습니까?

-베네수엘라, 디폴트 위기에 빠진지 오래돼

-최후 타개책으로 ‘페트로’ 발행 결정 공표

-총 물량 1억 페트로, 원화로 6조 4440억원

-페트로 가격, 1페트로=1배럴 유가=60달러

-베네수엘라 소비자물가 46000%, 페트로 실패

가상화폐는 블록체인 등 4차 산업을 육성시키는데 필요한 순기능도 많이 않습니까? 이 문제에 대해서는 어떤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까?

-가상화폐 본질, ‘화폐’ or ‘자산’ 논쟁 지속돼

-가상화폐 가격에 따라 이 논쟁의 성격 좌우

-가상화폐 가격폭락, 자산으로 인식하는 시각

-선진국, 4차 산업육성 차원서 가상화폐 인정

-신흥국, 투기근절 차원에서 규제 쪽으로 강화

우문이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비트코인 가격이 3분의 1 토막 됨에 따라 가상화폐발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얼마나 됩니까?

-10년 주기설과 맞물려 비트코인발 위기 우려

-마진 콜, 가격 폭락으로 증거금 부족 현상

-마진 콜->디레버리지 발생, 위기 확률 적어

-세계GDP대비 1%, 금융시스템 연계성 작아

-국제공조 규제보다는 ‘좀 더 지켜보자’ 입장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