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3분기 체감경기 하락…車·철강·조선·석유화학 `흐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제조업체들의 향후 체감경기 전망이 급격히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동차와 철강, 조선, 석유화학 등 일명 ‘중후장대’ 업종은 비관론이 우세한 반면 화장품과 제약 등 `경박단소` 업종은 대체로 낙관적이어서 대조를 이뤘습니다.
1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2천2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8년 3분기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87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분기에 비해 무려 10포인트나 하락한 수치입니다.
BSI가 100을 웃돌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보다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100을 밑돌면 나빠질 것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분기 BSI가 67로 나타난 조선업종은 2년 전 수주 절벽에 따른 실적 부진으로, 75를 기록한 자동차부품 업종은 미국의 관세 인상 움직임으로 인해 기준치인 100을 크게 밑돌았습니다,
82를 기록한 정유화학 업종은 `이란 쇼크` 등 유가 급등 조짐에 따라, 84로 나타난 철강업종은 미국의 관세 인상, 상호 전후방 연관 산업인 자동차업종의 부진 등으로 기준치를 밑돌았습니다.
반면 미국과 EU, 인도, 중화권 등에서 유행이 일고 있는 `K-뷰티`와 `K-의료` 영향으로 127을 기록한 화장품, 110으로 나타난 제약업종, 102를 기록한 의료정밀기기 업종 등은 상대적으로 기대감이 반영되며 100을 웃돌았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영남권의 체감경기 전망이 부정적인 반면 제주와 호남권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하반기 기업들은 특히 근로시간 단축과 최저임금 인상 등 고용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최근 주요 현안으로 떠오른 통상마찰(2.9%)과 남북관계 변화(1.6%) 등은 주요 변수로 지목되지 않았습니다.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대응방안과 관련해서는 응답 기업의 34.9%가 `별다른 대응책이 없다`고 답했고, 집중근무시간 관리(24.3%)와 유연근무제 활성화(22.4%) 등의 순이었습니다.
설비투자 확대와 신규채용 확대 계획을 대책으로 내놓은 기업은 전체의 7.8%와 6.0%에 그쳤습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동차와 철강, 조선, 석유화학 등 일명 ‘중후장대’ 업종은 비관론이 우세한 반면 화장품과 제약 등 `경박단소` 업종은 대체로 낙관적이어서 대조를 이뤘습니다.
1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2천2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8년 3분기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87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분기에 비해 무려 10포인트나 하락한 수치입니다.
BSI가 100을 웃돌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보다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100을 밑돌면 나빠질 것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분기 BSI가 67로 나타난 조선업종은 2년 전 수주 절벽에 따른 실적 부진으로, 75를 기록한 자동차부품 업종은 미국의 관세 인상 움직임으로 인해 기준치인 100을 크게 밑돌았습니다,
82를 기록한 정유화학 업종은 `이란 쇼크` 등 유가 급등 조짐에 따라, 84로 나타난 철강업종은 미국의 관세 인상, 상호 전후방 연관 산업인 자동차업종의 부진 등으로 기준치를 밑돌았습니다.
반면 미국과 EU, 인도, 중화권 등에서 유행이 일고 있는 `K-뷰티`와 `K-의료` 영향으로 127을 기록한 화장품, 110으로 나타난 제약업종, 102를 기록한 의료정밀기기 업종 등은 상대적으로 기대감이 반영되며 100을 웃돌았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영남권의 체감경기 전망이 부정적인 반면 제주와 호남권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하반기 기업들은 특히 근로시간 단축과 최저임금 인상 등 고용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최근 주요 현안으로 떠오른 통상마찰(2.9%)과 남북관계 변화(1.6%) 등은 주요 변수로 지목되지 않았습니다.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대응방안과 관련해서는 응답 기업의 34.9%가 `별다른 대응책이 없다`고 답했고, 집중근무시간 관리(24.3%)와 유연근무제 활성화(22.4%) 등의 순이었습니다.
설비투자 확대와 신규채용 확대 계획을 대책으로 내놓은 기업은 전체의 7.8%와 6.0%에 그쳤습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