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과의 4·27 남북한 정상회담에서 “‘앞으로 북이 무력을 사용한다는 것은 제 손으로 제 눈을 찌르는 것 아니냐’는 표현을 했다”고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이 30일 전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지도부 대상의 ‘남북 정상회담 결과 보고’에서 “김 위원장은 ‘확약·맹약’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 앞으로 무력 불사용에 대해 약속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조 장관은 양 정상이 이번 회담을 통해 “완전히 길을 텄고, 완전히 말문을 텄다”며 “(김 위원장이) 선제적으로 통 크고 시원하게 하겠다는 입장을 갖고 정상회담에 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문 대통령이 개성에 설치하기로 한 남북연락사무소 외에 서울과 평양에 연락사무소 설치 문제도 계속 협의해 나가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을 했다”며 “(개성연락사무소는) 개성공업지구에 인프라가 갖춰졌기 때문에 우선순위로 검토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또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도보 다리 대화 이후에 평화의 집으로 돌아온 뒤에도 최대 15분 정도 배석자 없이 대화를 이어갔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에게 ‘신경제지도 구상’에 대해서도 포괄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경제지도의 핵심은 동해권(에너지·자원), 서해안(산업·물류·교통), 비무장지대(환경·관광) 등 3대 경제벨트를 축으로 하는 남북경제 협력 방안이다.

조 장관은 ‘판문점 선언’의 국회 비준 추진 여부에 대해서는 “법률적으로 검토해서 비준 검토 대상인지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정부의 견해가 정해지면 말씀드릴 예정”이라고 했다.

민주당은 이날부터 ‘판문점 선언’을 뒷받침하기 위한 본격적인 후속 작업에 들어갔다. 문 대통령이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을 직접 김정은에게 설명하고, 그에 대한 후속 대책 마련을 지시함에 따라 당 정책위원회는 이와 관련한 광역자치단체별 핵심 공약 점검에 나섰다. 또 총 13개 항으로 구성된 판문점 선언의 세부 내용을 분석한 뒤 분야별 당정협의도 추진할 계획이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