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정상회담의 결과물로 발표한 '판문점 선언'에 대해 엇갈린 평가를 내놨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사진=연합뉴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사진=연합뉴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해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은 판문점 선언을 긍정 평가하면서 "역사적 쾌거"라고 환영했다.

그러나 자유한국당은 북한 비핵화 문제에 대한 구체적 합의가 미진해 북핵 폐기라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며 비판했다.

김현 민주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3가지 의제와 13개 항목을 통해 남북 긴장완화와 통일의 여정을 밝혔으며 구체적인 실천과제를 집대성한 역사적인 선언"이라면서 "남북관계뿐만 아니라 한반도 정세의 대전환점을 만든 역사적 쾌거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남과 북이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 목표를 확인하고, 남과 북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력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힌 것은 세계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향후 북미정상회담 성공의 기반을 다진 것"이라면서 "한반도에 기적이 오고 있다"고 말했다.
건배하는 남북 정상 (사진=연합뉴스)
건배하는 남북 정상 (사진=연합뉴스)
반면 홍준표 한국당 대표는 페이스북에서 "북의 통일전선 전략인 우리 민족끼리라는 주장에 동조하면서 북핵 폐기는 한마디도 꺼내지 못하고 김정은이 불러준 대로 받아 적은 발표문"이라면서 "결국 남북 정상회담은 위장평화쇼"라고 비판했다.

전희경 대변인도 논평에서 "판문점 선언은 북한의 핵 포기가 아닌 '한반도 비핵화'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선언문 가장 마지막에 구색 맞추기로 들어가 있다"면서 "그토록 비난받았던 노무현 정부의 10·4 남북공동선언에서 북한이 약속했던 비핵화보다도 오히려 후퇴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김철근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한반도 평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인 비핵화와 관련해서는 '완전한 비핵화'가 명문화된 것에 의미 있다"고 논평했다.

다만 "핵무기·핵시설·핵물질의 처리방법과 시기에 대한 합의, 국제기구 요구에 부합하는 사찰 방식과 검증절차에 대한 합의가 뒤따라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경환 평화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종전선언과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일정과 로드맵이 제시된 것은 70년간 지속해온 남북 적대관계와 한반도 냉전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획기적인 역사적 합의"라며 "남북 정상의 역사적 결단과 합의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최석 정의당 대변인은 "올해 중 종전선언을 통한 평화협정 체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실현을 명문화하는 등의 평화실현을 위한 매우 진전된 내용을 담은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고 평가했다.

앞서 문 대통령과 김정은은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남북한 관계 발전 등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에 합의했다.

양 정상은 판문점 선언을 통해 "한반도에 더 이상 전쟁은 없을 것이며 새로운 평화의 시대가 열렸다"고 전 세계에 공표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