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GDP 성장률 잠정치 3.1%…2016년 확정치는 2.9%로 0.1%p↑
총저축률 19년 만에 최고…노동소득분배율 7년 만에 하락


지난해 한국 경제가 3%대 성장세를 회복하며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 달러 턱밑까지 올라섰다.

올해는 2만 달러대에 진입한 지 12년 만에 3만 달러대에 진입하며 명실상부 선진국 대열에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6년 국민계정 확정 및 2017년 국민계정 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9천745달러(약 3천363만6천원)다.

전년도 2만7천681 달러(약 3천212만4천원)에서 7.5%(원화 기준 4.7%) 증가했다.

1인당 GNI(달러화 기준) 증가율은 2011년(9.6%) 이래 6년 만에 가장 높았다.

3년 만에 3%대 성장하고 달러 대비 원화가치가 연평균 2.6% 상승하며 달러화 기준 국민소득이 크게 늘었다.
작년 1인당 국민소득 2만9745달러… 올해 3만달러 넘는다
우리나라는 2006년 1인당 GNI 2만 달러를 넘어섰으나 도약하지 못했다.

올해는 한은 전망대로 3% 성장을 달성하고 원화가치 급락이 없다면 1인당 GNI 3만 달러 진입이 확실시된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다.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3만 달러는 선진국 진입 기준으로 인식돼왔다.

한은 정규일 경제통계국장은 브리핑에서 "올해 3만 달러 넘어서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1인당 국민소득 수준이 높아지면 사회복지나 환경 등에 신경을 쓸 여력이 많아지는 것이므로 선진국가로 가는 중요한 지표"라고 말했다.

정 국장은 "인구 2천만명 이상 8개국이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로 올라서는 데 평균 10년 정도 걸렸다.

우리나라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문에 2년 정도 더 걸리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는 1만6천573 달러로 전년(1만5천515 달러)에 비해 6.8% 증가했다.

원화 기준으로는 4.1% 늘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을 보여주는 지표다.
작년 1인당 국민소득 2만9745달러… 올해 3만달러 넘는다
한은은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를 연 3.1%로 발표했다.

올해 1월 발표한 속보치와 같다.

분기별로 깜짝 성장했던 1분기와 3분기 전기대비 성장률이 1.0%와 1.4%로 0.1%포인트씩 낮아졌다.

4분기 -0.2%는 변함없다.

2016년 GDP 성장률 확정치는 연 2.9%로 0.1%포인트 상향조정됐다.

지난해 건설투자(7.6%)가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설비투자(14.6%)가 증가로 전환하며 경제 성장을 견인했다.

제조업은 4.4%로 2011년(6.5%) 이래 6년 만에 가장 높았다.

반면 서비스업은 2.1%로 2009년(1.5%) 이래 가장 낮았다.

중국 사드 보복조치 여파에 음식 및 숙박이 -2.2%로 1998년(-10.7%) 이래 19년 만에 최악을 기록한 여파다.

서비스수출도 사드 영향으로 10.7% 감소했다.

민간소비는 가전제품과 휴대전화 등 내구재 중심으로 2.6% 증가했고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 등으로 3.4% 늘었다.

지출항목별 기여도는 민간소비 1.3%p(포인트), 건설투자 1.1%p, 설비투자 1.3%p, 재화 수출 1.4%다.
작년 1인당 국민소득 2만9745달러… 올해 3만달러 넘는다
물가 등을 고려한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GNI도 3.1% 증가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규모를 보여주는 명목 GDP는 1천730조4천억원으로 전년보다 5.4% 증가했다.

이는 2010년 9.9% 이래 7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총저축률은 36.3%로 전년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1998년(38.0%) 이후 19년 만에 최고다.

경제주체들이 지출하고 남은 돈이 늘었다는 뜻이다.

가계는 8.0%에서 7.9%로 낮아졌고 정부는 7.9%에서 8.4%로 올라갔다.

정 국장은 "2003년 이후 저축률이 꾸준히 올라가는 것은 소비가 소득증가율에 못미친다는 의미"라며 "소득세, 법인세 등이 많이 걷히면 기업 처분가능소득이 정부로 이전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가계순저축률은 7.6%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다.

국내 총투자율은 31.2%로 2011년(32.9%) 이래 최고다.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노동소득분배율은 63.0%로 전년 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기업 이익 증가가 충분히 배분되지 않은 탓에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악화됐다.

포괄적인 물가수준을 보여주는 GDP디플레이터(명목GDP/실질GDP·2010=100)는 2.3% 올랐다.

우리 국민이 외국에서 번 소득에서 외국인이 국내에서 번 소득을 뺀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해외배당금이 늘어나며 2016년 4조3천억원에서 지난해 3천억원으로 축소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