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파이 쓰면 위치파악 가능해
스마트 기기의 위치 기능을 활성화하면 실시간 교통정보나 기상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유용하다. WSJ는 그러나 “소비자들이 알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위치정보가 제공되고 있다”며 “위치정보 사용 요청에 응할 때마다 이 정보를 파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위치정보라는 빅데이터가 마케팅 자원으로 거래된다는 설명이다.
리서치회사 BIA켈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기업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용 지역 맞춤형 광고에 160억달러(약 17조3000억원)를 사용했다. 이 금액은 2021년께 두 배로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구글도 지난해 말 스마트기기 운영체제(OS)인 안드로이드 사용자의 위치를 수집해 논란을 빚었다. 구글은 스마트 기기의 위치 확인 기능을 끄거나 심 카드 없이도 위치를 수집해 “소비자의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사용자 위치와 이동 정보를 모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구글을 비롯해 페이스북 같은 거대 정보기술(IT) 기업들은 이런 논란을 의식해 “필요하지 않은 정보는 수집하지 않으며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꾸준히 없애고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각종 기술이 발전하면서 앱의 권한 요청을 거절하는 것만으로는 위치정보 유출을 막기 어려워졌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이동통신사는 전화기가 어느 기지국에 가장 가까운지 알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위치정보가 노출된다. 공개된 와이파이를 사용해도 어느 지역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WSJ는 “거의 매년 미국 상원이나 하원에서 개인정보 보호 법안이 나오지만 통과되지 못했다”며 “이는 미국이 사생활 보호에서 퇴보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고 지적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