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남침` 빠지고 `자유 민주주의` 수정…이념논쟁 `활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학교 역사교과서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일부 내용을 두고 이념논쟁이 불붙었다.5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새 검정 역사·한국사 교과서 집필기준을 마련 중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달 공청회를 열어 정책연구진이 마련한 안을 공개했다.이 안에서는 예전 집필기준에 쓰였던 `자유민주주의`라는 용어 대신 `민주주의`라는 표현이 쓰였다.다른 사회과 교과서에 `민주주의`라는 표현이 쓰여 통일성을 고려한 것뿐 다른 의미는 없다고 교육부 관계자는 설명했다.하지만 이번 논란은 이미 이념 논쟁으로 번지고 있다.진보 진영에서는 `자유민주`란 표현이 1970년대 유신헌법에 처음 등장했으며 사실상 `반북·멸공`과 동일시됐다면서 `민주주의`라는 표현이 더 중립적이면서도 충분히 의미 전달이 가능한 표현이라고 보고 있지만, 보수 진영에서는 1987년 만들어진 현행 헌법이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언급했고 `자유`를 빼면 사회민주주의나 인민민주주의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역사교과서 6.25 전쟁 관련 집필 기준도 논란이 되고 있다.현행 역사교과서 집필 기준은 `6.25 전쟁의 개전에 있어서 북한의 불법 남침을 명확히 밝히고`라고 정하고 있지만 새 집필 기준 시안은 `6·25 전쟁의 전개 과정과 피해 상황, 전후 남북 분단이 고착화되는 과정을 살펴본다`라고 적었다.6.25 전쟁은 북한군의 남침으로 발발했다는 것이 역사학계의 정설이지만 일부 역사학자는 남측이 북침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등의 주장을 펴 왔다.교육부는 이번에 발표된 안이 정책연구진의 견해일 뿐 정부의 공식 입장이나 최종 시안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하지만 정책연구는 통상 정부나 산하기관이 발주하고 연구 진행 상황을 정부와 공유하기 때문에 연구진 의견이 정부의 정책 방향과 완전히 궤를 달리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교육계에서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이념 논쟁에 휘말리면서 역사교과서가 오롯이 교육적인 관점에서 만들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실제로 박근혜 정부 시절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했던 교육부는 교과서의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라는 표현을 `대한민국 수립`으로 바꾸면서 진보 진영의 강한 비판을 받았다.일각에서는 이번 사안이 상징적인 의미가 크고 파급력이 강하다는 점을 고려해 교육부가 정책숙려제 대상으로 삼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역사교과서 논란 (사진=연합뉴스)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티몬, 초소형 전기차 `다니고` 100대 선착순 판매 개시ㆍ강성훈 박소현, 카메라 꺼진 줄 모르고 포옹하다…`들통?`ㆍ개리 아내, `아무도 몰랐다`…10살 연하 리쌍컴퍼니 직원?ㆍ손예진 나이?…"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ㆍ낸시랭 “올해 한국 떠날 것, 다른 나라서 인생 2막”ⓒ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