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긴장 피할 소통채널 중요…핵심당사자 진지한 논의 나서야"
[일문일답] 구테흐스 "대북 '좋은' 군사옵션도 비극의 시작"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일(현지시간) "한반도 위기에 대한 '좋은' 군사적 해법이라는 것도 매우 비극적인 상황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구테흐스 총장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인터뷰를 하고 외교적 북핵 해법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구테흐스 총장은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하기 위해 이번 주 방한한다.

강원도 강릉에서 문재인 대통령과도 만날 예정이다.

다음은 구테흐스 총장과의 일문일답.
[일문일답] 구테흐스 "대북 '좋은' 군사옵션도 비극의 시작"
-- 한국을 몇 차례 방문한 것으로 알고 있다.

▲ 1980년대 한국을 찾은 적이 있다.

1990년대에는 포르투갈 총리로서 방문했고, 3~4년 전에 유엔난민기구 고등판무관으로서 한국을 찾았다.

물론 유엔 사무총장으로서는 첫번째 방문이다.

-- 그동안 북핵 외교 해법의 중재자 역할을 강조해왔다.

방한 기간, 북한 대표단과의 접촉을 예상하는 관측도 있는데.
▲ 현재로써는 별도의 계획은 없다.

이번 방한은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초청으로 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하려는 것이다.

한국 국민에게 깊은 연대감을 밝히려는 게 이번 방한의 목적이다.

-- 북한의 올림픽 참가로 한반도 긴장이 다소 완화됐지만 일각에서는 북한의 의도에 대한 의구심도 있는데.
▲ 남북 간 교류확대는 긍정적이고 양국 간 군사 핫라인을 다시 구축한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올림픽은 그 자체로서 중요한 시그널이다.

중대한 진전을 이룰 기회를 높이는 기회가 될 수 있다.

-- 올림픽 이후에 북한의 추가도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북한에 대한 메시지는.
▲ 나의 분명한 메시지는 '이번 기회를 잡는 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긴장을 고조시키는 어떤 행위도 매우 부정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올림픽이 끝난 이후에, 어떤 종류의 긴장 고조 행위도 일어나지 않기를 희망한다.

우리의 목적은 매우 분명하다.

한반도의 남북 관계를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한반도 이슈의 외교적 해법은 무엇인가.

▲ 유엔의 역할은 언제나 평화의 메신저, 다리를 놓은 조정자다.

한반도의 평화적 비핵화는 안보리 이사국들의 단합을 통해서만 효과를 낼 수 있다.

동시에 어떤 긴장을 피할 수 있는 소통채널을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

그리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당사자들의 진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

(북한은) 이번 기회를 잡는 게 중요하다.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마라.
--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미국의 핵전쟁 도발을 막아주고, 이 문제를 안보리에 상정해달라'는 서한을 보낸 것으로 알고 있는데.
▲ 어떤 의제를 논의할지는 안보리 이사국들에 달려있다.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미 간 의미 있는 대화가 매우 중요하다고 믿는다.

서한에는 답장하겠지만, 우리의 역할은 매우 단순하다.

우리의 역할은 안보리 결의의 이행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외교적) 해법을 이끌 수 있는 조력자 역할을 하는 것이다.

-- 북한이 안보리 제재에 반발하고 있는데.
▲ 안보리 제재를 받는 국가들은 보통 제재를 비판하기 마련이다.

안보리 제재에 고맙다는 나라는 보지 못했다.

초점은 안보리 제재들이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응해 만장일치로 결정됐다는 것이다.

유엔 사무총장의 역할은 안보리 제재가 충실히 이행되도록 가능한 모든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 북한이 '비핵화는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고수하는데.
▲ 나의 다년간 정치 경험으로 비춰봤을 때, 첫 번째 입장이라는 것은 협상을 풀어나가면서 발전해나가는 것이다.

협상 테이블에는 모든 것을 올려놓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미국 내 일각의 대북 정밀타격론, 일명 '코피전략'에 대한 우려 섞인 시각이 나오는데.
▲나는 군사 전문가가 아니다.

이곳 유엔에서 한반도 위기의 평화적 해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다만 한반도 위기에 대한 '좋은' 군사적 옵션이라는 것도 매우 비극적 상황의 시작이라고 본다.

--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해선 어떻게 보는가.

▲ 인도적 지원은 독립적이고 불편부당하고 중립적인 것이다.

인도적 지원은 '정치'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완전하게 이뤄져야 한다.

유엔은 북한 사람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하고 있고, 국제사회에도 더 나은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이는 완벽하게 정치적 시각과는 분리해서 이뤄져야 한다.

시리아와 이라크, 남수단에도 인도적 지원활동이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