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혁신도시를 이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사람과 기업이 모이는 지역의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본격 육성한다고 밝혔습니다.혁신도시 시즌2에서는 지역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이 지역 혁신 성장의 주체로서 역할을 하게 됩니다.지역의 산학연 협력을 통한 지역산업육성 등을 포함한 지역발전계획을 수립하고,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도 확대합니다.특히 올해부터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의무화를 실시해, 2022년부터는 30% 이상을 지역인재로 뽑게 됩니다.혁신도시 클러스터 부지에는 이전기관과 연관된 기업체, 연구기관, 대학 캠퍼스 등을 유치하고, 오픈 캠퍼스도 운영합니다.또 각 혁신도시들은 고유한 테마에 맞는 스마트 혁신도시로 거듭나게 됩니다.전기·에너지 등을 테마로 한 광주·전남 혁신도시는 스마트그리드를, 경북 혁신도시는 스마트교통시스템을 갖춘 도시로 바뀝니다.이전 기관 가족들의 조기 정착에 걸림돌로 꼽히는 교육, 의료, 문화·복지 등 도시정주 인프라 투자도 확대합니다.국토부는 이렇게 되면 현재 58%대에 머무르는 이전기관 가족 동반 이주율도 2022년까지 75%로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혁신도시별로 구축되는 혁신도시발전지원센터는 창업·혁신기업 등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고, 인큐베이팅도 강화됩니다.주변지역의 경제활력 감소 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주변 지역과의 상생발전도 꾀한다는 계획입니다.원도심은 도시재생 사업으로, 지역생활권 내 상생 균형발전을 모색하고, 구도심과 연계한 지역문화 진흥 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또 혁신도시 발전 성과를 나누기 위한 상생발전기금 조성도 촉진합니다.혁신도시 중심의 지방대-지자체-공공기관 협력 클러스터 조성을 지원, 로컬푸드 직매장을 확대해 지역생산물 직거래도 늘립니다.정부는 혁신도시 시즌2의 실행을 위해 각 시·도별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을 오는 10월까지 확정할 방침입니다.이지효기자 jhlee@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티몬, 초소형 전기차 `다니고` 100대 선착순 판매 개시ㆍ강성훈 박소현, 카메라 꺼진 줄 모르고 포옹하다…`들통?`ㆍ개리 아내, `아무도 몰랐다`…10살 연하 리쌍컴퍼니 직원?ㆍ손예진 나이?…"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ㆍ낸시랭 “올해 한국 떠날 것, 다른 나라서 인생 2막”ⓒ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