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에 또 제동 건 금융당국…김정태 회장 '3연임' 가능성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당국과 하나금융그룹이 또 정면충돌했다. 금융당국이 하나금융그룹의 차기 회장 선임절차에 대해 중단을 요구했지만 하나금융 측은 예정대로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히면서다.
'3연임' 도전에 나선 김정태 회장(사진)이 당국과의 마찰을 딛고 연임에 성공할 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정태 회장, 연임 가능성 무게는 실리지만….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지난 12일 하나금융그룹에 차기 회장 선임절차를 중단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연루된 KEB하나은행의 아이카이스트 특혜대출 의혹과 채용비리 의혹에 대한 조사 결과가 마무리될 때까지 회장 선임 절차를 미뤄달라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금융그룹의 회장추천위원회(회추위)는 회장 선임절차를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금융당국의 지배구조 개선 요구를 충분히 반영해 절차를 투명하게 진행하는 만큼, 일정을 갑작스럽게 바꿀 필요는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말 하나금융그룹 이사회는 회추위와 리스크관리위원회 등에서 사내이사를 배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새 지배구조 개선안을 의결한 바 있다.
하나금융 회추위는 이날부터 이틀간 차기 회장후보군에 대해 면접을 본다. 후보군은 김정태 회장을 포함해 김병호 하나금융그룹 부회장,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정수진 하나카드 사장 등 4명의 내부 인사와 12명의 외부인사 등 총 16명이다. 심층면접을 거친 뒤 16일 3~4명의 최종후보군을 발표하고 22일 차기 회장을 선출할 계획이다.
그간 업계 안팎에선 김정태 회장의 3연임 가능성을 높게 점쳐왔다. 김 회장은 2012년 3월 하나금융그룹의 회장 자리에 오른 뒤 2015년 2월 연임에 성공했다. 오는 3월에는 3년의 임기가 만료된다.
김 회장은 금융전문가이자 영업통으로 불린다. 하나은행의 창립멤버로 하나은행장, 하나금융투자 사장 등 은행 증권을 두루 거쳤다. 김승유 전 회장의 바통을 이어받은 후에는 김 전 회장의 인사들을 물러나게 하는 등 내부 입지를 탄탄히 다진 점도 연임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또 성공적으로 외환은행과의 인수합병을 마무리한 점, 실적을 대폭 끌어 올린 점도 긍정적이다. 하나금융은 지난 4분기 '깜짝실적'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아지며 주가가 연일 상승중이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하나금융의 지난해 순이익은 사상 최초로 2조원을 넘겨 전년 대비 40%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김 회장이 하나금융 내부에 쌓아놓은 입지나 업적 등을 살펴봤을 때 연임 가능성은 여전히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금융당국의 반발과 수사 상황 등이 회추위의 결정에 어떤 영향을 줄 지 다른 금융사들도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반발 변수…최종구, 하나금융 겨냥 발언 내놔
그러나 금융당국의 반발이 거센 점은 김 회장의 연임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날 열린 '금융혁신 추진방향' 간담회에 참석한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하나금융을 겨냥한 듯한 발언을 쏟아냈다.
최 위원장은 "'금융은 특별하기 때문에 언제나 옳고 어떠한 경우도 간섭받아선 안 된다'는 잘못된 우월의식에 젖어 있는 분이 있다면 빨리 생각을 고치시기 바란다"고 날을 세웠다.
금감원의 요구를 하나금융 회추위가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밝힌 이후 나온 것이어서, 사실상 하나금융을 겨냥해 내놓은 발언으로 해석됐다.
최 위원장은 "금감원이 하나은행과 관련한 의혹에 대해 검사중이고 금감원 입장은 의혹이 해소될 때까지 선임 절차를 연기하는 것을 권고한 것"이라며 "권고를 받아들이느냐 마느냐는 회추위가 결정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이 발언을 두고 금융권 안팎에선 하나금융이 기존의 진행 방침을 고수한 데 따른 파장을 알아서 책임지라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압박 수위 또한 점차 강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최 위원장은 이날 '금융적폐'라는 단어를 재차 꺼내며 주목을 받기도 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신년사를 통해 "금융권의 갑질과 부당대출 등 금융적폐를 없애겠다"고 발언한 바 있다.
그는 "금융권 적폐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얼음장과 같이 차갑다"며 '셀프연임'이라고 비판했던 금융사의 지배구조, 담보대출 위주의 전당포식 영업, 국민들이 납득하기 어려울 정도로 과도한 황제연봉, 불완전 금융상품 판매, 채용비리 등을 청산해야 할 적폐로 분류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3연임' 도전에 나선 김정태 회장(사진)이 당국과의 마찰을 딛고 연임에 성공할 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정태 회장, 연임 가능성 무게는 실리지만….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지난 12일 하나금융그룹에 차기 회장 선임절차를 중단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연루된 KEB하나은행의 아이카이스트 특혜대출 의혹과 채용비리 의혹에 대한 조사 결과가 마무리될 때까지 회장 선임 절차를 미뤄달라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금융그룹의 회장추천위원회(회추위)는 회장 선임절차를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금융당국의 지배구조 개선 요구를 충분히 반영해 절차를 투명하게 진행하는 만큼, 일정을 갑작스럽게 바꿀 필요는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말 하나금융그룹 이사회는 회추위와 리스크관리위원회 등에서 사내이사를 배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새 지배구조 개선안을 의결한 바 있다.
하나금융 회추위는 이날부터 이틀간 차기 회장후보군에 대해 면접을 본다. 후보군은 김정태 회장을 포함해 김병호 하나금융그룹 부회장,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정수진 하나카드 사장 등 4명의 내부 인사와 12명의 외부인사 등 총 16명이다. 심층면접을 거친 뒤 16일 3~4명의 최종후보군을 발표하고 22일 차기 회장을 선출할 계획이다.
그간 업계 안팎에선 김정태 회장의 3연임 가능성을 높게 점쳐왔다. 김 회장은 2012년 3월 하나금융그룹의 회장 자리에 오른 뒤 2015년 2월 연임에 성공했다. 오는 3월에는 3년의 임기가 만료된다.
김 회장은 금융전문가이자 영업통으로 불린다. 하나은행의 창립멤버로 하나은행장, 하나금융투자 사장 등 은행 증권을 두루 거쳤다. 김승유 전 회장의 바통을 이어받은 후에는 김 전 회장의 인사들을 물러나게 하는 등 내부 입지를 탄탄히 다진 점도 연임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또 성공적으로 외환은행과의 인수합병을 마무리한 점, 실적을 대폭 끌어 올린 점도 긍정적이다. 하나금융은 지난 4분기 '깜짝실적'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아지며 주가가 연일 상승중이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하나금융의 지난해 순이익은 사상 최초로 2조원을 넘겨 전년 대비 40%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김 회장이 하나금융 내부에 쌓아놓은 입지나 업적 등을 살펴봤을 때 연임 가능성은 여전히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금융당국의 반발과 수사 상황 등이 회추위의 결정에 어떤 영향을 줄 지 다른 금융사들도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반발 변수…최종구, 하나금융 겨냥 발언 내놔
그러나 금융당국의 반발이 거센 점은 김 회장의 연임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날 열린 '금융혁신 추진방향' 간담회에 참석한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하나금융을 겨냥한 듯한 발언을 쏟아냈다.
최 위원장은 "'금융은 특별하기 때문에 언제나 옳고 어떠한 경우도 간섭받아선 안 된다'는 잘못된 우월의식에 젖어 있는 분이 있다면 빨리 생각을 고치시기 바란다"고 날을 세웠다.
금감원의 요구를 하나금융 회추위가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밝힌 이후 나온 것이어서, 사실상 하나금융을 겨냥해 내놓은 발언으로 해석됐다.
최 위원장은 "금감원이 하나은행과 관련한 의혹에 대해 검사중이고 금감원 입장은 의혹이 해소될 때까지 선임 절차를 연기하는 것을 권고한 것"이라며 "권고를 받아들이느냐 마느냐는 회추위가 결정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이 발언을 두고 금융권 안팎에선 하나금융이 기존의 진행 방침을 고수한 데 따른 파장을 알아서 책임지라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압박 수위 또한 점차 강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최 위원장은 이날 '금융적폐'라는 단어를 재차 꺼내며 주목을 받기도 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신년사를 통해 "금융권의 갑질과 부당대출 등 금융적폐를 없애겠다"고 발언한 바 있다.
그는 "금융권 적폐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얼음장과 같이 차갑다"며 '셀프연임'이라고 비판했던 금융사의 지배구조, 담보대출 위주의 전당포식 영업, 국민들이 납득하기 어려울 정도로 과도한 황제연봉, 불완전 금융상품 판매, 채용비리 등을 청산해야 할 적폐로 분류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