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술년, 새해 들어 나타나는 변화가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것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국채금리가 빠르게 올라가고 있는 점인데요. 국채금리가 오르면 우리 돈으로 무려 18경원에 해당하는 세계 빚의 원리금 상환부담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그 어느 국가보다 가계부채가 많은 우리로서도 바짝 긴장할 수밖에 없는데요.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있습니다.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올 들어 선진국 국채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있는데요. 먼저 그 움직임부터 말씀해 주시지요.-작년 9월 후 선진국 국채금리 상승세 전환-올 들어 단기채보다 장기채 중심으로 급등-미국, 작년 9월 2.05->작년말 2.41->2.55%-독일, 작년 9월 0.30->작년말 0.43->0.52%-일본, 작년 9월 -0.01->작년말 0.05->0.08%연초 들어 선진국 국채금리가 왜 이렇게 빠르게 올라가는 것입니까? 특별한 요인이라도 있습니까?-미국에 이어 일본, 유럽 긴축 우려 확산-초금융 완화의 상징 BOJ, ‘tapering’ 추진-ECB, ‘tapering’ 종결하고 금리인상 전환-중국, 미국 맞대응 국채매입 중단 우려감-중국, 한국 중심 신흥국도 금리인상 추진최근처럼 국채금리가 오른다는 것은 국채가격이 떨어진다는 의미인데요. 혹시 ‘flash crash’ 가능성은 없습니까?-`flash crash`는 돌발적인 가격변동 사태-한 순간 채권 등 가격변수 대폭락 발생-하이먼 민스키의 `someday-sometimes`론-wobbling market->dumping->flash crash-선진국 국채시장일수록 이 경고 지속 제기올 들어 국채금리가 급등함에 따라 ‘부채의 복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는 말이 들리는 데요 .현 시점에서 왜 이런 경고가 나오는 것입니까?-마이클 루이스, ‘Revenge of Debt’ 우려-부채의 복수, 저금리와 양적완화 부메랑-국채금리 상승->원리금 증가->부채의 복수-세계 부채 GDP대비 08년 225%->330%-작년 말 152조 달러, 원화로 18경원 달해부채의 복수가 시작될 경우 경기적인 측면에서 가장 우려되는 것이 일본식 ‘복합불황’이지 않습니까?-자산가격 붕괴와 저성장 간 일본식 악순환-과다부채 속 테이퍼링 ‘악순환 고리’ 촉진-테이퍼링->자산가격 하락->역자산 효과-BIS, ‘다모클레스의 칼’로 잠재위험-IMF, 부채억제 목적 금리인상 가능한 자제그 어느 국가보다 우리는 종합대책을 발표할 정도로 가계부채가 많은데요. 다들 아시겠습니다만 우리 가계부채가 얼마나 심각한지 그 상황을 말씀해 주시지요.-한국 총부채=국가 595조원+민간 1400조원-1인당 빚, 국가까지 합하면 4000만원 넘어-3대 평가사, 가계부채 한국경제 뇌관 지목-다른 국가에 비해 부채증가속도 가장 빨라-질적인 면에서 ‘소비성’보다 ‘주택담보대출’우리처럼 가계부채가 많은 상황에서 금리가 올라갈 경우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크지 않겠습니까?-주택담보대출 금리, 올 들어 5%대 진입-금융위기 이후 성장률 제고, wealth effect-대출금리 0.25%p 상승->이자 2조 3천억원-금리 0.25%p 인상, 성장률 0.05%p 하락-성장률 3%대, 쏠림현상으로 완충효과 적어현 정부도 대책을 발표하긴 했습니다만 경기에 미치는 영향 등을 감안하면 더 늘어나는 가계부채 연착륙 방안이 추가적으로 나와야 하지 않습니까?-추가 금리인상은 가능한 신중을 기해야-부동산 기대 수익률을 동시에 낮출 필요-증시 등 다른 투자수단 기대 수익률 제고-비트코인 규제·부동산 정책 효과 ‘긍정적’-fine tuning, 생계형-연착륙 · 투기형-경착륙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한국경제TV 핫뉴스ㆍ티몬, 초소형 전기차 `다니고` 100대 선착순 판매 개시ㆍ강성훈 박소현, 카메라 꺼진 줄 모르고 포옹하다…`들통?`ㆍ개리 아내, `아무도 몰랐다`…10살 연하 리쌍컴퍼니 직원?ㆍ손예진 나이?…"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ㆍ낸시랭 “올해 한국 떠날 것, 다른 나라서 인생 2막”ⓒ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