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활성화] "단기부양 후 거품·부실 우려도"
증권가는 11일 정부가 내놓은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이 시장 부양 효과를 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단기적인 수급 개선 효과로 코스닥 지수가 오르고서 차익실현을 위한 매도가 몰리면 거품 붕괴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허남권 신영자산운용 사장은 "정부의 코스닥 활성화 정책은 기업의 실질적인 성장 능력과 기업가치 등 기초여건(펀더멘털)을 개선하는 효과로 연결되기 어려워 보인다"며 "결과적으로 거품(버블) 형성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특히 상장 기준을 완화해 코스닥시장 진입 문턱을 낮춘 데 대해 우려감을 드러냈다.

재무상태가 어려운 부실기업이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면 과거 정보기술(IT) 거품 붕괴 이후처럼 투자자 손실 등으로 시장 신뢰가 추락하는 상황이 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혁신기업의 코스닥 상장을 지원하기 위해 상장 기준에서 계속사업이익, 자본잠식 요건을 폐지하고 세전이익, 시가총액, 자기자본 요건 중 한가지만 충족해도 상장이 가능하도록 단독 상장요건을 신설하기로 했다.

테슬라 요건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상장 주관사의 풋백옵션 부담도 완화해주기로 했다.

이종우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상장요건을 완화해 문턱을 낮추는 방안은 4∼5년 후 코스닥시장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IT 거품이 꺼지고 15년간 논쟁 끝에 얻은 결론은 좋은 기업을 상장시키고 나쁜 기업을 빨리 퇴출시키는 것이었다"며 "녹색 성장이나 창조경제 등으로 적자기업이 들어왔지만, 상장폐지 수순을 되풀이했다"고 지적했다.

4년 전 상장 문턱을 낮춰 코스닥 시장에 진입한 바이오 등 성장주 중에선 적자기업들도 다수 존재한다.

정훈석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이번 정책은 코스닥 활성화보다 벤처기업 육성 방안"이라며 "상장 기준 완화나 테슬라 요건의 풋백옵션 부담 면제 등 방안은 벤처 상장 기업이 늘어나는 효과는 있지만, 부담스러운 기업에 대한 위험을 투자자가 고스란히 지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