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통합일정 늦추기 어려워" 합당 박차…봉합 가능성 '가물가물'
통합반대파 "탈당러시, 경보 아닌 현실"…원외위원장 모임 세몰이


바른정당과의 통합 찬반을 둘러싼 국민의당 내홍을 중재하기 위한 시한이 다가오고 있지만, 통합 찬성파와 반대파는 10일에도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안철수 대표는 "통합일정을 늦추기 어렵다"며 예정대로 합당을 추진하겠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 반면 반대파에서는 통합을 포기하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 평행선을 달렸다.

양측이 오는 14일로 예정된 의원총회까지 양측 입장을 절충할 실마리를 찾지 못할 경우 분당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중재 시한 카운트다운' 국민의당, 절충·파국 갈림길
안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중립파들이 내놓는 중재안을 수용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통합에 찬성하는) 전(全)당원투표 결과가 발표되며 당원의 뜻이 모였고, 여론조사를 통해 (합당의) 시너지 효과 등도 조사결과로 나왔다.

이를 바탕으로 의원들과 소통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래 계획한 통합일정을 늦추기는 힘든 상황"이라며 합당을 기존 계획대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바른정당의 추가 탈당으로 통합 동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에도 "진정한 개혁 정당, 젊은 정당, 국민을 통합하는 정당이 되겠다는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실제로 안 대표는 당내 중립파를 두루 만나는 동시에 손학규 상임고문, 김한길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등을 잇따라 접촉하는 등 보폭을 넓히고 있다.

당초 이날 오전 참석하기로 했던 '중소기업인 신년인사회' 행사에 불참한 것 역시 통합논의를 위해 당 안팎의 인사들을 만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안 대표는 "손 상임고문과 김 전 대표 등 여러 사람을 만났는데 상황인식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며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도 곧 만나 여러 의논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안 대표가 통합 행보에 박차를 가하면서 당 안팎에서는 그가 자신의 조기사퇴나 바른정당 의원들의 개별입당 등에 관한 여러 중재안을 수용할 가능성이 더 낮아졌다는 관측이 나왔다.
'중재 시한 카운트다운' 국민의당, 절충·파국 갈림길
통합반대파 의원들로 구성된 '국민의당 지키기 운동본부' 역시 이날 국회에서 별도 회의를 열고 "합당에 반대한다"는 기존 원칙을 재확인했다.

운동본부 대표인 조배숙 의원은 모두발언에서 "안 대표에게는 시간이 없다.

국민의당의 기반이 되는 지역 정치인들은 탈당해서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게 낫다는 얘기까지 한다"며 "2월 중순까지 합당에 대한 결론이 나지 않으면 '탈당 러시'가 일어날 것이다.

이는 경보가 아닌 현실"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바른정당의) 유승민 대표는 이를 알기 때문에 지연전술을 펴면서 국민의당이 껍데기만 남아 보수정당으로 넘어오길 기다리는 것"이라며 "허망한 보수야합 놀음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정숙 의원도 "두 대표의 야심이 공당을 망가뜨리고 있다.

이는 정당사에 남을 일"이라며 "일방적 짝사랑의 비참한 말로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회의 직후 최경환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안 대표가 중재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14일 의총 직전에 모여서 대책을 논의하겠다"고 설명했다.
'중재 시한 카운트다운' 국민의당, 절충·파국 갈림길
이처럼 양측 간 대립이 계속되는 가운데 찬성파와 반대파는 각자 대국민 일정을 소화하며 여론전을 이어갔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통합추진협의체'는 11일 민생 현장을 방문해 자영업자들과 상인들의 목소리를 듣는 일정을 마련했다.

또 이날 당 최고위원회의에는 충북 제천 화재 참사 피해자들이 직접 참석했으며, 이 자리에서 안 대표는 이들을 위한 대책 마련에 힘쓰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반대파의 경우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원외 지역위원장 워크숍을 열고 통합저지에 대한 의견을 나누기로 했다.

정대철 상임고문 역시 이날 오후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통일시민포럼' 행사를 열고 통합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민의당 지키기 운동본부는 11일에는 광주에서 당원간담회를 열어 텃밭 민심을 청취하고, 12일에는 개성공단 피해 업체들과 토론회를 열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