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AI 포럼…개인정보 수집 논란엔 "마이크 늘 켜진 건 아냐"

구글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음성인식 및 대화 기술과 관련해 기계와 사람이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시대가 5년 내에 올 것으로 예측했다.

구글에서 전산언어학팀을 이끄는 하다 �토브 디렉터는 5일 오전 서울 역삼동 구글코리아에서 열린 AI 포럼에서 화상 강연을 통해 "개인적으로 앞으로 5년 안에 매우 효과적으로 기계와 사람이 대화를 나눌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사람과 대화하는 것 같진 않을 것"이라며 "인간과 대화하는 것처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절대 범접할 수 없는 영역이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구글 "5년내 기계와 효과적 대화 가능… 사람 수준은 불가"
자연어 처리를 맡은 최현정 구글 연구원은 한국어가 구어·문어의 큰 차이, 존댓말, 띄어쓰기, 기초 연구 부족 등 탓에 기계로 자연스럽게 처리하기 쉽지 않은 언어라고 토로했다.

그는 "한국어의 운율적인 요소를 많이 이해해 화자의 감정과 의도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 연구원은 네이버나 카카오 같은 국내 업체와 비교해 구글이 보유한 한국어 데이터가 부족하지 않으냐는 질문에는 "신경망 모델로 넘어가면서 데이터가 적어도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며 "데이터의 양으로 승부가 결정 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구글 음성인식·대화 기술 개발의 방향으로 "확장성을 중시하고 범언어적 시스템을 만드는 게 목적"이라며 "모든 언어를 한 언어처럼 생각해보자는 방향으로 많이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구글이 안드로이드폰 사용자 위치 정보를 몰래 수집해 물의를 일으킨 것과 관련, 음성인식 기술에도 개인정보 침해 소지가 있지 않으냐는 질문에 하다 디렉터는 "많이들 의심하는데 마이크가 항상 켜져 있지는 않다"고 해명했다.

그는 ''오케이, 구글' 같은 호출 명령어를 내린 다음 해당 음성정보가 구글에 수집적으로 전송된다"며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매우 신중하게 처리한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