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제2차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2018~2022년) 수립

정부가 제조업 기반인 '뿌리산업' 육성을 위해 앞으로 5년간 관련 기업에 스마트공장 2천개를 구축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2차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2018~2022년)을 발표하고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와 세부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뿌리산업은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 6대 제조공정기술(뿌리기술)을 활용한 업종을 말한다.

자동차, 조선 등 주요 제품의 품질 경쟁력을 책임지는 핵심이며 전기차, 로봇 등 신산업 부품 개발에도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간 영세 산업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인력과 입지 확보, 투자 유치 등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정부는 올해 만료되는 제1차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2013~2017년)에 이어 2차 기본계획을 수립하게 됐다.

2차 기본계획은 공정 혁신, 고부가가치화, 일자리 환경 조성 등 세 축으로 추진된다.

목표는 '지속가능한 뿌리산업 육성'이다.

공정 혁신을 위해서는 2022년까지 현재 499개인 뿌리기업 스마트공장을 2천개로 늘리기로 했다.

효과적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기 위해 42개 뿌리 공정의 데이터수집 표준모델도 보급한다.

정부는 뿌리기술-3D 프린팅 기술 융합 공정을 개발하고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뿌리산업의 기술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고부가가치화를 촉진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뿌리기술전문기업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위해 연구개발(R&D)도 지원할 방침이다.

뿌리산업 특화단지도 지난해 21개에서 2022년에는 30개로 확대된다.

정부는 일자리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연령대별로 차별화 전략을 추진한다.

청년층과 관련해서는 채용설명회 개최, 전문대학원을 통한 인력 양성 등의 방안을 마련한다.

40~50대 인력에는 직업능력교육, 사후 관리 등이 지원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