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연내 지분매각 무산… 정부 "내년에 7% 팔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블록딜·FI 참여·분산매각 등 검토…현 지배구조는 유지키로
'채용비리' 사태로 매각 차질…"후임 은행장 선임되면 착수"
정부가 우리은행 잔여지분 연내 매각은 어렵다고 보고 내년에 7% 지분을 파는 잠정안을 마련했다.
12일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18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은 우리은행 주식 4천732만 주(지분율 7%) 매각 대금을 수입으로 잡았다.
우리은행 주식과 함께 한화생명 5천374만 주(지분율 6.2%), 서울보증보험 175만 주(지분율 5%) 등을 매각 목표로 제시했다. 우리은행 지분 매각 대금(최근 2년 주가 적용) 5천억 원을 비롯해 1조 원어치 지분을 팔겠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은 예금보험공사에 설치된 기금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우리은행에 공적자금을 투입했으며, 우리은행 지분을 팔아 회수하고 있다.
현재 정부가 예보를 통해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은 18.5%다.
정부는 잔여지분 매각을 추진했지만, 올해 매각은 물 건너갔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은 박경서 고려대학교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돌발 사태가 발생해 연내 매각은 어려워진 게 맞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이 언급한 '돌발 사태'란 우리은행 채용비리 사태와 이광구 행장 전격 사임이다.
공자위는 우리은행과 협의해 지분을 매각해왔다.
그런데 실무 과정을 지휘할 은행장이 공석이고, 우리은행은 검찰 수사대상에 올라 두 차례 압수수색도 당했다.
공자위 공동위원장인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최대한 빨리 결론"(7월 17일), "조만간 결정"(9월 18일) 등을 약속했지만, 돌발 사태 탓에 지키지 못한 셈이다.
박 위원장은 "우리은행 지분 매각의 최우선 과제는 주주총회"라며 "주총을 열어 후임 행장을 선임하는 게 먼저"라고 밝혔다.
공자위는 내년에 우리은행 잔여지분 매각을 추진하되, 현 지배구조 체제가 유지되도록 매각할 방침이다.
과점주주들이 사외이사를 선임, 은행 경영에 참여함으로써 경영진이나 외부의 영향을 최대한 덜 받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IMM PE(6.0%), 동양생명(4.0%), 유진자산운용(4.0%), 키움증권(4.0%), 한국투자증권(4.0%), 한화생명(4.0%), 미래에셋자산운용(3.7%)이 7개 과점주주다.
박 위원장은 "기존 과점주주 등을 대상으로 한 블록세일, 다른 과점주주의 참여, 장내 분산매각 등을 놓고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다른 과점주주의 경우 경영 참여보다 재무적투자자(FI)로 들어오게 될 공산이 크다.
다만 최근 우리은행의 사정을 고려할 때 과점주주에 우선매수권 등 '특혜'로 비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할 가능성은 작은 것으로 전해졌다.
공자위 관계자는 "일단 예산안 반영을 위해 7%라는 목표치를 잠정적으로 제시했지만, 실제 매각 규모는 시장 상황을 보면서 공자위가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후임 행장이 임원진 인사 등으로 조직을 추스르고 나면 잔여지분 매각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채용비리' 사태로 매각 차질…"후임 은행장 선임되면 착수"
정부가 우리은행 잔여지분 연내 매각은 어렵다고 보고 내년에 7% 지분을 파는 잠정안을 마련했다.
12일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18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은 우리은행 주식 4천732만 주(지분율 7%) 매각 대금을 수입으로 잡았다.
우리은행 주식과 함께 한화생명 5천374만 주(지분율 6.2%), 서울보증보험 175만 주(지분율 5%) 등을 매각 목표로 제시했다. 우리은행 지분 매각 대금(최근 2년 주가 적용) 5천억 원을 비롯해 1조 원어치 지분을 팔겠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은 예금보험공사에 설치된 기금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우리은행에 공적자금을 투입했으며, 우리은행 지분을 팔아 회수하고 있다.
현재 정부가 예보를 통해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은 18.5%다.
정부는 잔여지분 매각을 추진했지만, 올해 매각은 물 건너갔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은 박경서 고려대학교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돌발 사태가 발생해 연내 매각은 어려워진 게 맞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이 언급한 '돌발 사태'란 우리은행 채용비리 사태와 이광구 행장 전격 사임이다.
공자위는 우리은행과 협의해 지분을 매각해왔다.
그런데 실무 과정을 지휘할 은행장이 공석이고, 우리은행은 검찰 수사대상에 올라 두 차례 압수수색도 당했다.
공자위 공동위원장인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최대한 빨리 결론"(7월 17일), "조만간 결정"(9월 18일) 등을 약속했지만, 돌발 사태 탓에 지키지 못한 셈이다.
박 위원장은 "우리은행 지분 매각의 최우선 과제는 주주총회"라며 "주총을 열어 후임 행장을 선임하는 게 먼저"라고 밝혔다.
공자위는 내년에 우리은행 잔여지분 매각을 추진하되, 현 지배구조 체제가 유지되도록 매각할 방침이다.
과점주주들이 사외이사를 선임, 은행 경영에 참여함으로써 경영진이나 외부의 영향을 최대한 덜 받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IMM PE(6.0%), 동양생명(4.0%), 유진자산운용(4.0%), 키움증권(4.0%), 한국투자증권(4.0%), 한화생명(4.0%), 미래에셋자산운용(3.7%)이 7개 과점주주다.
박 위원장은 "기존 과점주주 등을 대상으로 한 블록세일, 다른 과점주주의 참여, 장내 분산매각 등을 놓고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다른 과점주주의 경우 경영 참여보다 재무적투자자(FI)로 들어오게 될 공산이 크다.
다만 최근 우리은행의 사정을 고려할 때 과점주주에 우선매수권 등 '특혜'로 비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할 가능성은 작은 것으로 전해졌다.
공자위 관계자는 "일단 예산안 반영을 위해 7%라는 목표치를 잠정적으로 제시했지만, 실제 매각 규모는 시장 상황을 보면서 공자위가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후임 행장이 임원진 인사 등으로 조직을 추스르고 나면 잔여지분 매각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