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자유무역협정) 개정 협상을 위한 공동위원회 특별회기 2차 회의가 4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다. 개정 협상 개시 합의 여부가 최대 관심사다.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가 주축이 된 우리 측 협상단은 3일 2차 공동위 참석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했다. 지난 8월22일 서울에서 1차 공동위가 열린 지 한 달 이상 만에 개최되는 것이다.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지난달 20일 워싱턴에서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통상장관 회담을 갖는 등 사전 분위기를 파악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해온 미국 측의 ‘한미FTA 폐기’ 주장은 블러핑(엄포)이 아니라 현실화할 수 있다는 게 김 본부장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양국 간 '탐색전' 성격이 짙었던 1차 공동위와는 달리 2차 공동위에서는 미국 측의 '개정 협상 개시' 압박이 한층 거세질 전망이다.

2차 공동위에서도 기본 입장은 미국 측 "즉각 개정과 무역적자 해소', 우리 측 '한미FTA 영향에 대한 공동분석' 주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양측 주장의 절충점을 찾아 FTA 영향 공동분석 진행을 전제로 개정 협상 개시에 합의할 수 있다는 일각의 관측도 나온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