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러슨, 美北 직접접촉 첫 확인…'뉴욕채널' 등 재가동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北과 2∼3개 직접 채널 열고 '대화하고 싶은가' 타진"
벼랑끝 대결속 대화 '물꼬' 모색…北 추가도발 여부가 최대변수
소식통 "북측도 美와 대화 하려고 여기저기 쑤시고 다녀"
북한과 미국이 거친 설전으로 '벼랑 끝 대치'를 이어온 가운데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과 직접 대화 채널을 열어두고 있다고 말해 국면 전환 가능성이 주목된다.
중국을 방문 중인 틸러슨 장관은 30일(현지시간) 베이징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과 소통 라인을 가지고 있다.북한과 2~3개 정도의 채널을 열어두고 있다"며 막후 직접 채널을 통해 대화 의사를 타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는 대화를 통해 사태를 해결하기를 바란다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기본 원칙은 평화적 해결"이라며 "우리에게 필요한 가장 당면한 행동은 사태를 진정시키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국이 북핵 문제를 두고 대북 대화 채널을 가동하고 있다고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 같은 발언은 틸러슨 장관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등과 회담한 후에 나온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틸러슨 장관은 다만 "(북한의 대화 의지를) 살펴보고 있다.그러니 지켜봐 달라"고 말해, 그가 소개한 대화 채널이 핵·미사일 문제를 깊이 있게 논의하는 수준의 소통 창구는 아니라는 점을 시사했다.
하지만 틸러슨 장관이 이들 복수의 채널이 중국을 통하지 않은 미국과 북한 사이의 직접 채널이라고 밝힌 점 등에 미뤄 양측 수뇌부의 의지를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하는 라인들이 가동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지금까지 트럼프 정부가 공식 확인한 북·미 접촉은 북한에 17개월간 억류됐다 지난 6월 석방된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 송환 협상이 유일하다.
한국계인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지난 5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북측 외무성 관계자들과 처음 접촉한 데 이어 다음 달에는 뉴욕에서 유엔주재 북한대사와 협상했다.
그는 이어 6월 12일 의료진을 대동하고 항공편으로 평양을 전격적으로 방문해, 그 다음 날 웜비어를 데리고 주일미군기지를 거쳐 미국으로 귀환했다.
당시 협상은 북미 양국이 트럼프 정부 들어서도 대화 채널을 열어 놓고 있음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그러나 웜비어 송환 협상 과정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는 게 미 정부 관계자의 설명이었다.
또한 웜비어의 사망으로 여론이 크게 악화하면서 반관반민 형식인 이른바 트랙2(혹은 트랙1.5) 대화조차도 무산하는 등 대화 분위기는 크게 위축됐다.
지난 8월에는 북한의 대미 협상을 총괄하는 최선희 외무성 북미국장의 미국 방문이 트랙2 형식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워싱턴포스트(WP)의 보도가 나와, 북미 협상의 돌파구가 될지에 관심이 쏠렸으나 결국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3명의 석방 문제가 걸림돌이 돼 성사되지 않았다.
이후 이달 초 북한의 6차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도발로 이른바 '말의 전쟁'이 이어지며 한반도 긴장의 수위는 치솟았고 미북 양측간의 의미 있는 접촉은 사실상 올스톱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대세였다.
이런 상황에서 몇몇 막후 대화 채널을 가동하며 북한의 대화 의지를 타진하고 있다는 틸러슨 장관의 발언은 미 행정부의 대화 의지를 재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잖은 의미가 있다는 분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북한 '완전 파괴' 발언과 미 전략폭격기의 '영공 밖' 격추 등 미북 간 공방이 오가면서 미국의 군사옵션 동원 가능성이 부각된 상황에서 외교적 해결 가능성도 열어주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틸러슨 장관이 이처럼 상황 변화를 전하면서 한반도 정세의 중대 분수령이 될 트럼프 대통령의 11월 한·중·일 순방에 앞서 미북 간 전격적인 협상 테이블이 마련될지도 주목된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이 발언이 갈수록 강경해지고 미 전략폭격기가 북한 동해 상에서 무력시위를 펼치자 북측도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한 소식통은 "북측이 미국과 대화하려고 여기저기를 쑤시고 다닌다는 얘기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북측의 이 같은 움직임은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유엔총회 참석을 기점으로 더욱 활발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리 외무상이 지난 25일 뉴욕을 떠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선전포고했다면서 자위적 대응권리를 주장하며 긴장수위를 끌어올렸지만, 북측 역시 미국의 의중에 대한 탐색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그동안 '말 폭탄'을 퍼부으며 북한과 가파르게 각을 세운 트럼프 대통령이 틸러슨 장관의 대화론에 얼마나 무게를 싣고 있는지가 실질적인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틸러슨 장관은 취임 후 줄곧 외교·경제적 대북 압박을 통한 평화적 해결에 힘을 실어왔으나, 이 과정에서 강온책을 펴는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또 틸러슨 장관이 당장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멈춰 사태를 진정시켜야 한다고 지적한 만큼 북한의 추가 핵·미사일 도발이 강행될 경우 대화 국면으로의 전환은 험로가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워싱턴·뉴욕연합뉴스) 강영두 이귀원 특파원 0279@yna.co.kr
벼랑끝 대결속 대화 '물꼬' 모색…北 추가도발 여부가 최대변수
소식통 "북측도 美와 대화 하려고 여기저기 쑤시고 다녀"
북한과 미국이 거친 설전으로 '벼랑 끝 대치'를 이어온 가운데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과 직접 대화 채널을 열어두고 있다고 말해 국면 전환 가능성이 주목된다.
중국을 방문 중인 틸러슨 장관은 30일(현지시간) 베이징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과 소통 라인을 가지고 있다.북한과 2~3개 정도의 채널을 열어두고 있다"며 막후 직접 채널을 통해 대화 의사를 타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는 대화를 통해 사태를 해결하기를 바란다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기본 원칙은 평화적 해결"이라며 "우리에게 필요한 가장 당면한 행동은 사태를 진정시키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국이 북핵 문제를 두고 대북 대화 채널을 가동하고 있다고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 같은 발언은 틸러슨 장관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등과 회담한 후에 나온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틸러슨 장관은 다만 "(북한의 대화 의지를) 살펴보고 있다.그러니 지켜봐 달라"고 말해, 그가 소개한 대화 채널이 핵·미사일 문제를 깊이 있게 논의하는 수준의 소통 창구는 아니라는 점을 시사했다.
하지만 틸러슨 장관이 이들 복수의 채널이 중국을 통하지 않은 미국과 북한 사이의 직접 채널이라고 밝힌 점 등에 미뤄 양측 수뇌부의 의지를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하는 라인들이 가동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지금까지 트럼프 정부가 공식 확인한 북·미 접촉은 북한에 17개월간 억류됐다 지난 6월 석방된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 송환 협상이 유일하다.
한국계인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지난 5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북측 외무성 관계자들과 처음 접촉한 데 이어 다음 달에는 뉴욕에서 유엔주재 북한대사와 협상했다.
그는 이어 6월 12일 의료진을 대동하고 항공편으로 평양을 전격적으로 방문해, 그 다음 날 웜비어를 데리고 주일미군기지를 거쳐 미국으로 귀환했다.
당시 협상은 북미 양국이 트럼프 정부 들어서도 대화 채널을 열어 놓고 있음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그러나 웜비어 송환 협상 과정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는 게 미 정부 관계자의 설명이었다.
또한 웜비어의 사망으로 여론이 크게 악화하면서 반관반민 형식인 이른바 트랙2(혹은 트랙1.5) 대화조차도 무산하는 등 대화 분위기는 크게 위축됐다.
지난 8월에는 북한의 대미 협상을 총괄하는 최선희 외무성 북미국장의 미국 방문이 트랙2 형식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워싱턴포스트(WP)의 보도가 나와, 북미 협상의 돌파구가 될지에 관심이 쏠렸으나 결국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3명의 석방 문제가 걸림돌이 돼 성사되지 않았다.
이후 이달 초 북한의 6차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도발로 이른바 '말의 전쟁'이 이어지며 한반도 긴장의 수위는 치솟았고 미북 양측간의 의미 있는 접촉은 사실상 올스톱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대세였다.
이런 상황에서 몇몇 막후 대화 채널을 가동하며 북한의 대화 의지를 타진하고 있다는 틸러슨 장관의 발언은 미 행정부의 대화 의지를 재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잖은 의미가 있다는 분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북한 '완전 파괴' 발언과 미 전략폭격기의 '영공 밖' 격추 등 미북 간 공방이 오가면서 미국의 군사옵션 동원 가능성이 부각된 상황에서 외교적 해결 가능성도 열어주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틸러슨 장관이 이처럼 상황 변화를 전하면서 한반도 정세의 중대 분수령이 될 트럼프 대통령의 11월 한·중·일 순방에 앞서 미북 간 전격적인 협상 테이블이 마련될지도 주목된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이 발언이 갈수록 강경해지고 미 전략폭격기가 북한 동해 상에서 무력시위를 펼치자 북측도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한 소식통은 "북측이 미국과 대화하려고 여기저기를 쑤시고 다닌다는 얘기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북측의 이 같은 움직임은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유엔총회 참석을 기점으로 더욱 활발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리 외무상이 지난 25일 뉴욕을 떠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선전포고했다면서 자위적 대응권리를 주장하며 긴장수위를 끌어올렸지만, 북측 역시 미국의 의중에 대한 탐색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그동안 '말 폭탄'을 퍼부으며 북한과 가파르게 각을 세운 트럼프 대통령이 틸러슨 장관의 대화론에 얼마나 무게를 싣고 있는지가 실질적인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틸러슨 장관은 취임 후 줄곧 외교·경제적 대북 압박을 통한 평화적 해결에 힘을 실어왔으나, 이 과정에서 강온책을 펴는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또 틸러슨 장관이 당장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멈춰 사태를 진정시켜야 한다고 지적한 만큼 북한의 추가 핵·미사일 도발이 강행될 경우 대화 국면으로의 전환은 험로가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워싱턴·뉴욕연합뉴스) 강영두 이귀원 특파원 027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