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한은 기준금리 인상 '내년 1분기' 우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주열 총재 3월 임기 만료…북핵위험 장기화땐 '2분기 인상' 가능성
국내 채권 전문가들은 지정학적 위험과 가계부채 등으로 한국은행이 내년 1∼2분기께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1일 전망했다.
다음 달과 11월 두 차례만 남은 올해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이주열 한은 총재가 8월 금통위에서 조심스러운 스탠스를 유지하며 금리 인상을 준비하고 있으나 연내 서두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드러냈다"며 "현재 동결 기조를 유지하는 것은 최적의 타이밍을 찾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만 현대차투자증권 책임연구원은 "8∼9월 물가 상승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해 10월에 금리 인상 소수의견 등장도 가능할 것"이라며 "이달 초 가계부채 대책 발표가 예정됐고 미국 예산안 불확실성이 걷히면 10월 금통위에 대한 경계감은 올해 가장 높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수의 전문가는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내년 1분기로 점쳤다.
조 연구원은 "총재의 임기가 내년 3월 말까지로 여건이 갖춰지면 1분기 금리 인상 가능성도 상존한다"며 "국내 경기 기초여건(펀더멘털)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며 북한 위험 등 인상 지연요인도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상은 이미 금통위 테이블 위에 올라와 있으며 타이밍의 문제만 남았다"며 내년 1분기 금리 인상을 전망했다.
이 총재는 "부동산시장이 안정되면 통화 완화 정도를 조정해야 하는 시급성이 줄어들 수 있으나 현재 가계부채 총량이 매우 높은 점을 고려하면 완화 기조를 장기간 지속할 경우 금융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금리 인상이 가계부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한은 내에서 충분히 분석이 끝난 상태라고도 언급했다.
이 연구원은 "8·2대책 이후에도 부동산 가격과 대출 증가세가 지속하면 인상 시점이 더욱 앞당겨질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판단했다.
다만 박종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정학적 위험을 고려하면 금리 인상 시점은 내년 2분기가 유력해 보인다"고 강조했다.
기본적으로 한은은 경기회복세가 지속하면서 내년 하반기쯤 국내총생산(GDP) 갭(실제 성장률과 잠재 성장률의 차이)이 플러스(+)로 전환될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는 만큼 통화정책의 파급 시차를 고려하면 이보다 이른 시점에 금리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박 연구원은 추정했다.
그는 다만 "한은은 당분간 관망세를 보이면서 8·2 부동산 대책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는 데다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느려져 금리 인상 시급성도 줄어들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으로 금리 인상 시점을 고려할 때 지정학적 위험의 전개 상황이 핵심 변수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윤선희 유현민 기자 indigo@yna.co.kr
다음 달과 11월 두 차례만 남은 올해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이주열 한은 총재가 8월 금통위에서 조심스러운 스탠스를 유지하며 금리 인상을 준비하고 있으나 연내 서두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드러냈다"며 "현재 동결 기조를 유지하는 것은 최적의 타이밍을 찾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만 현대차투자증권 책임연구원은 "8∼9월 물가 상승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해 10월에 금리 인상 소수의견 등장도 가능할 것"이라며 "이달 초 가계부채 대책 발표가 예정됐고 미국 예산안 불확실성이 걷히면 10월 금통위에 대한 경계감은 올해 가장 높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수의 전문가는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내년 1분기로 점쳤다.
조 연구원은 "총재의 임기가 내년 3월 말까지로 여건이 갖춰지면 1분기 금리 인상 가능성도 상존한다"며 "국내 경기 기초여건(펀더멘털)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며 북한 위험 등 인상 지연요인도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상은 이미 금통위 테이블 위에 올라와 있으며 타이밍의 문제만 남았다"며 내년 1분기 금리 인상을 전망했다.
이 총재는 "부동산시장이 안정되면 통화 완화 정도를 조정해야 하는 시급성이 줄어들 수 있으나 현재 가계부채 총량이 매우 높은 점을 고려하면 완화 기조를 장기간 지속할 경우 금융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금리 인상이 가계부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한은 내에서 충분히 분석이 끝난 상태라고도 언급했다.
이 연구원은 "8·2대책 이후에도 부동산 가격과 대출 증가세가 지속하면 인상 시점이 더욱 앞당겨질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판단했다.
다만 박종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정학적 위험을 고려하면 금리 인상 시점은 내년 2분기가 유력해 보인다"고 강조했다.
기본적으로 한은은 경기회복세가 지속하면서 내년 하반기쯤 국내총생산(GDP) 갭(실제 성장률과 잠재 성장률의 차이)이 플러스(+)로 전환될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는 만큼 통화정책의 파급 시차를 고려하면 이보다 이른 시점에 금리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박 연구원은 추정했다.
그는 다만 "한은은 당분간 관망세를 보이면서 8·2 부동산 대책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는 데다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느려져 금리 인상 시급성도 줄어들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으로 금리 인상 시점을 고려할 때 지정학적 위험의 전개 상황이 핵심 변수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윤선희 유현민 기자 indig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