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세조각 분리 낙하' 보도, 후추진체 시동 실패 때 현상과 일치"
"후추진체 실패로 사거리 축소됐다면 美본토 타격 심각하게 추진한다는 뜻"

북한이 최근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을 시험 발사한 것은 탄도미사일용 후추진체(PBV)의 실전 능력을 시험하려는 목적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의 정통한 미사일 전문가인 마이클 엘먼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선임연구원은 31일(현지시간) 존스홉킨스대 북한전문 웹사이트 '38노스'에 기고한 글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후추진체는 탄도미사일 발사체의 동력이 모두 소진된 뒤부터 미사일에 동력을 추가로 공급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핵탄두를 더 멀리 운반하고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는 데다 종말 단계에서 요격을 막기 위한 '미사일탐지방해장치'도 추가 운용할 수 있는 장점 등이 있어 미국, 러시아, 중국 등 군사 강국들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반드시 후추진체 기술을 사용한다.

엘먼 연구원은 북한이 지난 5월 화성-12형의 첫 시험 발사 때는 후추진체를 장착하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후추진체를 활용했을 확률이 상당히 높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2천700km를 날아간 두번째 화성-12형의 경우 후추진체가 제공한 추가 속도 덕분에 미사일의 '정점'이 2천km까지 달한 뒤에 약 700km를 더 날아갔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美전문가 "北, 화성-12형에 후추진체 시험 유력"
그는 또 이번 화성-12형 미사일이 일본 홋카이도 동쪽 1천180km 태평양 공해 상에서 세 조각으로 갈라져 떨어졌다는 일본 언론들의 보도에 주목했다.

엘먼 연구원은 "화성-12형에 PBV가 있다는 것은 아직 가설일 뿐이지만, 그 미사일이 세 조각으로 분해됐다는 보도들은 PBV 엔진이 실패할 때(나타나는 현상)와 일치한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PBV 엔진이 시동이 걸리지 않은 채 재진입체가 PBV로부터 분리됐다면 주추진체와 PBV, 재진입체의 세 조각이 거의 비슷한 궤도를 그렸을 것"이라며 "원거리 레이더에는 막판 추진 단계에서 그 미사일이 이질적인 세 부분으로 분리된 것으로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PBV의 정상적인 작동으로 추가 속도가 공급되지 않는다면, 재진입체는 주추진체, PBV와 함께 원래 사거리에 훨씬 못 미치는, 발사 장소로부터 2천700km 떨어진 곳에 낙하한다"고 분석했다.

또 "달리 말하자면 연료가 가득 채워진 채 작동하지 않은 PBV의 무게는 1천200~1천300kg의 탄두를 적재하고 발사한 것에 상응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북한이 상당한 무게의 탄두를 탄도미사일로 운반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는 의미와 함께 재진입 기술에서도 빠른 진척을 보인다는 점을 입증하는 것으로 엘먼 연구원은 해석했다.

엘먼 연구원은 "만약 이번 화성-12형 미사일이 2천700km밖에 날아가지 못한 것이 PBV의 실패 때문이라면, 이는 불길한 징조"라면서 "이는 김정은 정권이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핵탄두 미사일을 정말로 심각하게 개발하고 배치하려 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美전문가 "北, 화성-12형에 후추진체 시험 유력"
(워싱턴연합뉴스) 이승우 특파원 lesli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