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이자 부담 우려…기업대출 증가세도 경계해야

가계, 기업 등이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상호금융 등 비은행금융기관에서 빌린 돈이 763조원을 넘어섰다.

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비은행금융기관의 여신 잔액은 763조6천923억원이다.

비은행금융기관에는 이른바 제2금융권으로 불리는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생명보험사 등이 들어간다.

이 통계에 대부업체는 포함되지 않는다.

비은행금융기관의 여신 잔액은 한국은행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93년 이후 사상 최대치다.

작년 말과 비교하면 상반기에 39조1천499억원(5.4%) 늘었다.

증가 규모가 작년 상반기(34조8천909억원)보다 4조2천590억원 많고 반기 기준으로 작년 하반기(52조8천672억원)에 이어 사상 두번째 수준이다.

상반기 여신 증가액을 금융기관별로 보면 자산운용사 잔액이 60조3천694억원으로 11조587억원(22.4%) 늘었고 저축은행은 47조2천628억원으로 3조7천982억원(8.7%) 증가했다.

신용협동조합은 4조230억원(7.7%) 불었고 상호금융은 13조2천609억원(5.9%), 새마을금고는 7조1천578억원(7.9%) 각각 늘었다.

서울지역 부동산 시장 호조에 따른 주택담보대출과 사업자금, 생활비 등을 위한 대출 수요가 꾸준히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제2금융권 대출 763조 돌파… 올 상반기 39조 늘었다
제2금융권 대출은 저소득층,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이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금리가 높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는다.

한국금융연구원이 지난 6월 발간한 가계부채보고서를 보면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분석한 결과, 소득 1분위(하위 20%)는 가계대출에서 비은행권 비중이 55%를 차지했다.

65세 이상 고령층과 자영업자도 비은행권 가계대출 비중이 각각 43.2%, 41.4%로 높았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만큼 앞으로 제2금융권 대출 금리가 오를 경우 가계와 기업의 부담이 커질 공산이 크다.

이런 가운데 올해 하반기 제2금융권 대출 증가세가 지속될지 주목된다.

정부의 8·2부동산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강화됐고 이달 중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도입 등을 골자로 한 가계부채 관리대책이 발표될 예정이다.

이런 점에서 제2금융권에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그러나 가계대출이 깐깐해지면서 개인사업자(자영업자)를 비롯한 기업 대출이 급증할 개연성에 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 5월 말 비은행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잔액은 110조5천685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13조5천388억원(14.0%)이나 늘었다.

1∼5월 증가액이 작년 같은 기간(7조1천716억원)의 2배에 가깝다.

지난 5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 금통위원은 "최근 가계대출에 대한 건전성 관리가 강화되는 가운데 중소기업 대출의 증가 폭이 확대되고 있다"며 "저금리 기조에서 특정부문의 규제 강화가 다른 부문의 대출 압력 증대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표> 비은행금융기관 여신 잔액 및 증가액(단위 10억원)
┌────────────┬────────────┬───────────┐
│연도 │비은행금융기관기관 여신 │증가액 │
│ │잔액(기말기준) │ │
├────────────┼────────────┼───────────┤
│2007년 │359조9천771억원 │58조661억원 │
├────────────┼────────────┼───────────┤
│2008년 │423조3천354억원 │63조3천583억원 │
├────────────┼────────────┼───────────┤
│2009년 │436조9천776억원 │13조6천422억원 │
├────────────┼────────────┼───────────┤
│2010년 │459조8천143억원 │22조8천367억원 │
├────────────┼────────────┼───────────┤
│2011년 │499조1천188억원 │39조3천45억원 │
├────────────┼────────────┼───────────┤
│2012년 │519조9천642억원 │20조8천454억원 │
├────────────┼────────────┼───────────┤
│2013년 │544조556억원 │24조914억원 │
├────────────┼────────────┼───────────┤
│2014년 │582조8천509억원 │38조7천953억원 │
├────────────┼────────────┼───────────┤
│2015년 │636조7천843억원 │53조9천334억원 │
├────────────┼────────────┼───────────┤
│2016년 │724조5천424억원 │87조7천581억원 │
├────────────┼────────────┼───────────┤
│2017년 6월 │763조6천923억원 │39조1천499억원 │
│ │ │(1∼6월) │
└────────────┴────────────┴───────────┘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noja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