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국회의장 주재 4당 원내대표 회동서 결정
與는 추석前 국감, 野는 추석 이후 국감


여야가 8일 정부의 결산안 심사를 위한 8월 임시국회와 9월 정기국회 국정감사의 일정 조율에 나섰다.

여야는 원내수석부대표들 간 정지작업을 거친 뒤 15일 광복절 행사 후 정세균 국회의장 주재로 열리는 4당 원내대표 회동에서 일정을 결정하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원활한 결산 심사를 위해 늦더라도 18일부터는 8월 국회를 시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홍근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결산심사는 각 상임위원회에서 최소 3일, 예결위에선 7∼8일이 필요한데 8월 법정기한 내에 의결하려면 늦어도 18일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20일간 국감 기간을 미리 확정해야 상임위별로 사전준비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훈식 원내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임시국회 개회 날짜를 18일, 21일 가운데 어떤 날이 좋을지와 올해는 추석 연휴가 길어서 국감 일정을 어떻게 가져갈지에 대한 의견을 친전에 담았다"며 "결정은 15일 원내대표 회동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도 통화에서 "광복절 행사를 하고 나서 의장 주재로 여야 4당이 모이기로 했다"며 "그전에 (일정 조율을 위해) 서로 의견을 주고받고 하겠지만, 15일에 만나서 원내대표들끼리 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감의 경우 민주당은 추석 전으로, 야당은 추석 이후로 일정을 잡자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바른정당 정양석 원내수석부대표는 "국감은 추석이 개천절 등과 이어져 휴일이 엄청나게 많은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며 "(원내수석부대표들과) 만나서 얘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8월 국회에서 박근혜 정부의 예산집행 현황과 관련해 '적폐 지출'이 없었는지 꼼꼼히 따져보겠다는 방침이다.

민주당은 또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인준안, 물 관리 일원화 등 야당이 반발하는 현안도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방침이다.

반면,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등 보수야당은 결산심사 목적이 큰 임시국회를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증세 정책 등을 비판하는 무대로 삼아 정국 주도권을 쥐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與 "18일부터 국회 열어야"… 8월 국회 일정조율 착수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고상민 기자 kong7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