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세계 최초로 혈소판 양산한다
일본에서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로 혈소판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바이오벤처 메가카리온은 15개 일본 제약·화학기업과 협력해 iPS세포로 혈소판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iPS세포를 활용한 혈소판 제조는 기존에도 있었지만 대량 생산 기술을 확보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회사는 내년 임상시험에 들어가 2020년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메가카리온은 iPS세포로부터 자가 복제 및 냉동 보관이 가능한 줄기세포의 일종인 MKCL을 만들어 혈소판을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기반 기술을 확보했다. 기술이 상용화되면 외과 수술 등 출혈을 동반하는 수술 시 수혈이 쉬워진다. 지금은 헌혈에만 의존하다 보니 한국 일본 등에서 혈소판 공급 부족을 겪기도 한다.

iPS세포를 사용해 혈소판을 만들면 헌혈된 혈액을 사용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기존 혈소판은 냉장 보관이 어려워 나흘밖에 보관하지 못하지만 iPS세포로 만든 혈소판은 무균 처리가 가능해 2주가량 보관할 수 있다. 바이러스 등 병원체 침투도 막을 수 있다. 헌혈로 공급된 혈액은 에이즈, C형 간염 등 각종 전염병 위험에서 자유롭지 않지만 iPS세포를 활용하면 이런 위험을 피할 수 있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