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네이버 FARM] 김건태 비전농장 대표..."연 매출 30억, 홍성의 7000마리 돼지아빠에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장의 사람들 - 한국의 돼지명인
농가도 기술이 생명
군제대 후 논 500평 팔아 종잣돈…돼지 1마리로 시작, 억대 부농 돼
제일제당서 대기업 관리기법 배워 해외 농가선 선진기술 적극 도입
농가도 기술이 생명
군제대 후 논 500평 팔아 종잣돈…돼지 1마리로 시작, 억대 부농 돼
제일제당서 대기업 관리기법 배워 해외 농가선 선진기술 적극 도입
지난달 중순 충남 홍성군 매현리에 있는 비전농장. 돼지 7000여 마리가 자라는 축사는 약 3만 평(9만9000여㎡) 넓이의 초원에 둘러싸여 있었다. 풀밭엔 사료로 쓰이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목초가 자라고 있었다. 김건태 비전농장 대표(64·사진)는 “돼지들에게 양질의 사료를 먹이기 위해 직접 목초를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정부가 선정한 ‘돼지 명인’이다. 2013년 축산분야 대한민국 최고농업기술명인으로 뽑혔다. 김 대표는 1990년대 초반부터 축산농가의 오래된 고민거리인 가축분뇨 처리 및 악취 문제 해결에 노력해온 공로를 인정받았다. 양돈 농부가 최고농업기술명인으로 선정된 건 김 대표가 유일하다. 그는 1977년부터 고향 홍성에서 돼지를 사육하고 있다. 새끼를 낳는 종돈 700여 마리를 비롯 돼지 7000여 마리가 농장에서 자란다.
농사가 싫어 고향을 떠나다
지금은 연 매출 30여억원의 부농이지만 어린 시절 농사를 물려받기 싫어 6대째 살아오던 고향을 떠난 적도 있었다. 중학교를 졸업한 뒤 무작정 서울로 향했다. 군 생활을 마친 그는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스물네 살이던 1977년 집안의 논 500평(1650㎡)을 팔아서 마련한 돈으로 닭고기용 육계 사육을 시작했다. 3년 뒤 어미 돼지 한 마리, 암소 한 마리도 들여왔다. 이게 비전농장의 토대가 됐다.
1990년대 초반 김 대표에게 새로운 기회가 찾아왔다. 거래하던 제일제당(당시 삼성그룹 계열사) 사료 영업 담당자로부터 특약 대리점을 운영해보겠냐는 제안이 들어왔다. 김 대표는 삼성이란 대기업의 운영기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다. 그는 “3년 동안 대리점을 운영하면서 대기업의 관리기법을 배운 게 농장 경영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농장 화재로 전 재산을 잃다
시련이 찾아왔다. 1994년 축사에 대형 화재가 났다. 어미 돼지 130여 마리와 출하를 기다리던 돼지 1000여 마리 등 그때까지 일궈온 모든 자산이 한순간에 사라졌다.
“불이 난 다음 6~7개월 동안은 제정신이 아니었어요. 그렇게 반년 넘게 힘들어하니까 지인 한 분이 저를 불러 저녁을 사주면서 이야기했어요. 당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은 돼지를 키우는 일이라고. 순간 정신이 번쩍 들더라고요.”
그는 다음날 바로 홍성군청 축산과를 찾았다. 담당 공무원에게 도움을 청했다. 공무원들은 그에게 도움이 될 만한 지원 제도를 알아봐줬다. 김 대표는 2억원을 빌려 다시 축사를 짓고 돼지를 들여왔다.
양돈농가 첫 맞춤형 사료 개발
그가 대형 농장을 일굴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 선진 축산기술과 관리기법을 적극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1993년 대한한돈협회 홍성군 지부장에 이어 한돈협회 부회장과 회장을 차례로 지낸 그는 해외 축산농가를 둘러볼 기회가 많았다. 이때 배운 기술과 기법을 항상 자신의 농장에 직접 적용하려는 시도를 했다. 1997년 국내 최초로 ‘자가 배합사료’를 만들 수 있었던 것도 이런 노력 덕분이다. 1993년 미국 양돈농가를 방문했을 때 미국 농부가 칼슘 등 필수 영양소가 담긴 소량의 프리믹스 사료를 사다가 옥수수 및 대두박(대두 껍질)과 섞어 직접 사료를 만들어 사용하는 방식을 알게 됐다. 그는 인근 양돈농가와 함께 3~4년 준비기간을 거쳐 1997년 자가 배합사료를 생산하는 홍주골영농조합법인을 설립했다.
축산폐수·악취 해결에 도전
축산농장은 가축 분뇨로 인한 환경 오염과 악취 때문에 기피 시설로 인식된다. 김 대표가 1993년 홍성군 최초로 축산 분뇨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해 배출하는 ‘활성오니 방류시설’을 설치한 것은 이런 인식을 바꾸기 위해서였다. 이 시설은 가축 분뇨를 저장 탱크에 가둔 뒤 박테리아와 미생물을 배양해 분해하는 시설이다.
2012년에는 악취를 줄이기 위해 ‘BM 활성수’ 기술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악취를 80%가량 줄였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돼지농장의 청결함을 알리기 위해 2015년 가을엔 오케스트라를 초청해 농장에서 음악회까지 열었다.
1남2녀를 둔 김 대표는 큰아들, 막내딸과 함께 농장 및 직거래 판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그는 축사 주변에서 자라는 약 3만 평 넓이의 초원에 농장의 미래가 있다고 생각한다. 직접 기른 목초를 돼지들에게 먹여 사료비를 절감하고 나아가 건초 가공공장을 세워 양돈농가에 사료용으로 공급하겠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홍성=FARM 홍선표 기자
전문은 ☞ m.blog.naver.com/nong-up/221007792193
김 대표는 정부가 선정한 ‘돼지 명인’이다. 2013년 축산분야 대한민국 최고농업기술명인으로 뽑혔다. 김 대표는 1990년대 초반부터 축산농가의 오래된 고민거리인 가축분뇨 처리 및 악취 문제 해결에 노력해온 공로를 인정받았다. 양돈 농부가 최고농업기술명인으로 선정된 건 김 대표가 유일하다. 그는 1977년부터 고향 홍성에서 돼지를 사육하고 있다. 새끼를 낳는 종돈 700여 마리를 비롯 돼지 7000여 마리가 농장에서 자란다.
농사가 싫어 고향을 떠나다
지금은 연 매출 30여억원의 부농이지만 어린 시절 농사를 물려받기 싫어 6대째 살아오던 고향을 떠난 적도 있었다. 중학교를 졸업한 뒤 무작정 서울로 향했다. 군 생활을 마친 그는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스물네 살이던 1977년 집안의 논 500평(1650㎡)을 팔아서 마련한 돈으로 닭고기용 육계 사육을 시작했다. 3년 뒤 어미 돼지 한 마리, 암소 한 마리도 들여왔다. 이게 비전농장의 토대가 됐다.
1990년대 초반 김 대표에게 새로운 기회가 찾아왔다. 거래하던 제일제당(당시 삼성그룹 계열사) 사료 영업 담당자로부터 특약 대리점을 운영해보겠냐는 제안이 들어왔다. 김 대표는 삼성이란 대기업의 운영기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다. 그는 “3년 동안 대리점을 운영하면서 대기업의 관리기법을 배운 게 농장 경영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농장 화재로 전 재산을 잃다
시련이 찾아왔다. 1994년 축사에 대형 화재가 났다. 어미 돼지 130여 마리와 출하를 기다리던 돼지 1000여 마리 등 그때까지 일궈온 모든 자산이 한순간에 사라졌다.
“불이 난 다음 6~7개월 동안은 제정신이 아니었어요. 그렇게 반년 넘게 힘들어하니까 지인 한 분이 저를 불러 저녁을 사주면서 이야기했어요. 당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은 돼지를 키우는 일이라고. 순간 정신이 번쩍 들더라고요.”
그는 다음날 바로 홍성군청 축산과를 찾았다. 담당 공무원에게 도움을 청했다. 공무원들은 그에게 도움이 될 만한 지원 제도를 알아봐줬다. 김 대표는 2억원을 빌려 다시 축사를 짓고 돼지를 들여왔다.
양돈농가 첫 맞춤형 사료 개발
그가 대형 농장을 일굴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 선진 축산기술과 관리기법을 적극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1993년 대한한돈협회 홍성군 지부장에 이어 한돈협회 부회장과 회장을 차례로 지낸 그는 해외 축산농가를 둘러볼 기회가 많았다. 이때 배운 기술과 기법을 항상 자신의 농장에 직접 적용하려는 시도를 했다. 1997년 국내 최초로 ‘자가 배합사료’를 만들 수 있었던 것도 이런 노력 덕분이다. 1993년 미국 양돈농가를 방문했을 때 미국 농부가 칼슘 등 필수 영양소가 담긴 소량의 프리믹스 사료를 사다가 옥수수 및 대두박(대두 껍질)과 섞어 직접 사료를 만들어 사용하는 방식을 알게 됐다. 그는 인근 양돈농가와 함께 3~4년 준비기간을 거쳐 1997년 자가 배합사료를 생산하는 홍주골영농조합법인을 설립했다.
축산폐수·악취 해결에 도전
축산농장은 가축 분뇨로 인한 환경 오염과 악취 때문에 기피 시설로 인식된다. 김 대표가 1993년 홍성군 최초로 축산 분뇨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해 배출하는 ‘활성오니 방류시설’을 설치한 것은 이런 인식을 바꾸기 위해서였다. 이 시설은 가축 분뇨를 저장 탱크에 가둔 뒤 박테리아와 미생물을 배양해 분해하는 시설이다.
2012년에는 악취를 줄이기 위해 ‘BM 활성수’ 기술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악취를 80%가량 줄였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돼지농장의 청결함을 알리기 위해 2015년 가을엔 오케스트라를 초청해 농장에서 음악회까지 열었다.
1남2녀를 둔 김 대표는 큰아들, 막내딸과 함께 농장 및 직거래 판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그는 축사 주변에서 자라는 약 3만 평 넓이의 초원에 농장의 미래가 있다고 생각한다. 직접 기른 목초를 돼지들에게 먹여 사료비를 절감하고 나아가 건초 가공공장을 세워 양돈농가에 사료용으로 공급하겠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홍성=FARM 홍선표 기자
전문은 ☞ m.blog.naver.com/nong-up/221007792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