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2

문재인 대통령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37주년인 18일 광주를 찾아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것은 희생자의 명예를 지키고 민주주의의 역사를 기억하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은 이날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석해 "오늘 임을 위한 행진곡의 제창은 그동안 상처받은 광주정신을 다시 살리는 일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임을 위한 행진곡’은 단순한 노래가 아니고 오월의 피와 혼이 응축된 상징"이자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 그 자체"라고 강조했다.

5·18 민주화 운동 희생자들을 위해 작곡된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97년 정부기념일 지정 이후 지난 2008년까지는 행사에서 제창됐으나, 2009년부터는 '합창'돼 그간 유족과 민주화 단체의 반발이 있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이 이번 기념식에서 제창을 직접 지시하면서 9년 만에 임을 위한 행진곡의 공식 제창이 이뤄지게 됐다.

문 대통령은 "5·18은 불의한 국가권력이 국민의 생명과 인권을 유린한 우리 현대사의 비극"이라 규정하고 "하지만 이에 맞선 시민들의 항쟁이 민주주의의 이정표를 세웠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광주의 진실은 저에게 외면할 수 없는 분노였고, 아픔을 함께 나누지 못했다는 크나큰 부채감이었다"면서 "그 부채감이 민주화운동에 나설 용기를 주었고 오늘 이 자리에 서기까지 성장시켜준 힘이 됐다"고 말했다.

또 "새롭게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광주 민주화 운동의 연장선 위에 서 있고, 1987년 6월항쟁과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의 맥을 잇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5월 광주의 시민들이 나눈 '주먹밥과 헌혈'이야말로 우리의 자존의 역사이자 민주주의의 참 모습"이라며 "목숨이 오가는 극한 상황에서도 절제력을 잃지 않고 민주주의를 지켜낸 광주정신은 그대로 촛불광장에서 부활했다"고 설명했다.

또 "촛불은 5.18 민주화 운동의 정신 위에서 국민주권시대를 열고 국민이 대한민국의 주인임을 선언했다"면서 "문재인 정부는 국민의 뜻을 받드는 정부가 될 것임을 광주 영령들 앞에 천명한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