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트리아 (사진=DB)

뉴트리아 섭취시 세균·기생충 감염이 우려된다.

최근 뉴트리아 담즙에서 웅담 성분이 발견됐다는 연구 결과가 알려져 관심을 모은 가운데, 환경부가 무분별한 뉴트리아 섭취는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2014년 대한기생충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견된 뉴트리아에서 뉴트리아분선충(Strongyloides myopotami)과 간모세선충(Capillaria hepatica) 감염이 실제 보고됐다.

이는 미국·캐나다·아르헨티나 등 해외 연구 결과에서도 야생에서 서식하거나 사육된 뉴트리아에서 살모넬라균 등 다양한 병원체가 발견됐다.

뉴트리아가 국내에 처음 도입 된 것은 1980년대 후반 모피용으로 불가리아 등에서 농가에 도입됐다. 하지만 사육 포기 등으로 일부 개체가 국내 생태계에 방사된 후 강한 생명력으로 농작물 피해나 생태계 교란을 일으켰다. 이에 따라서 2009년부터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한편 뉴트리아는 국내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20종 가운데 유일한 포유류이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뉴트리아를 100대 악성 외래종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또한 환경부 장관으로부터 허가를 받지 않고 뉴트리아를 사육·유통하는 행위는 금지되고 있다. 이를 위반하면 2년 이하의 징역형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환경부는 2023년까지 뉴트리아 완전 퇴치를 목표로 유역(지방)환경청·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퇴치전담반을 운영하는 한편 광역 수매제도 실시하고 있다.

환경부 국립생태원이 전국 뉴트리아 서식실태를 조사한 결과 현제 뉴트리아 추정 개체수는 2014년 8천700마리에서 2016년 1월 5천400마리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박천규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최근 뉴트리아 담즙에서 웅담 성분이 발견됐다는 연구 결과가 보도된 후 섭취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야생 뉴트리아는 기생충 등 다양한 병원체를 보유할 우려가 큰 만큼 절대로 먹으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강선모 한경닷컴 연예·이슈팀 기자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hub@hankyung.com